임대 3만호 공급… 전·월세난 해소 ‘접경지 친환경 교육전원도시’ 조성 비현실적인 부분 많아
특히 경기도 교육감을 지냈던 경험을 바탕으로 접경지역에 ‘친환경 교육전원도시’를 건설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해 눈길을 끌고 있다.
먼저 김 후보는 필요한 곳 위주로 공공임대주택 및 민간참여 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할 것을 약속하고 있다.
건설뿐만 아니라 매입과 전세를 적극 활용해 수요가 있는 곳에 공공임대주택 물량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도시 내 역세권을 중심으로 공유지 신탁 및 용적률 인센티브 부여 등을 통해 민간업체로 하여금 저렴한 임대주택 공급을 유도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김 후보는 임기 동안 매년 공공임대 5천호, 민간참여임대 2천500호 등을 공급해 총 3만호를 공급하겠다는 목표다. 이와 함께 경기도 지역개발기금을 활용해 배관교체 사업을 추진, 도내 아파트 노후 수도배관 교체 지원을 통한 ‘녹물 없는 경기도’를 실현하겠다는 공약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김 후보는 남북한 접경지역에 친환경 교육전원도시를 건설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해 타 후보들과 차별화를 두고 있다.
이 공약은 도내 접경지역에 대학을 유치하고 북부지역에 있는 LCD단지 및 출판단지 등과 연계해 산학연 산업클러스터를 만들어 북부지역의 자족성도 확보하겠다는 내용이다. 김 후보는 이 도시가 발전하면 향후 남북한이 공동으로 건설하는 평화도시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김 후보가 제시한 임대주택 공급 정책은 이미 LH 공사가 시행하고 있는 공공임대주택 정책과 크게 다르지 않고 접경지대 친환경 교육전원도시 공약 역시 미래상은 있지만 비현실적인 부분이 많으며 도시ㆍ주택 분야에 있어 뉴타운 등 도내 현안에 대한 대안 제시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이호준기자 hojun@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