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News] 좌경림 인하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뇌ㆍ심장 손상 3~6개월 내 재활치료땐 정상생활 가능”

“흔히 뇌와 심장은 한 번 망가지면 다시 쓸 수 없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틀린 얘기입니다. 뇌와 심장도 재활을 통해 다시 튼튼해지고 제 기능을 찾을 수 있습니다”

좌경림 인하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33·여)는 “뇌와 심장이 손상됐을 경우 재활을 하느냐 마느냐의 차이는 그야말로 천지차이”라며 뇌와 심장의 재활치료 중요성을 강조했다.

1970년대부터 학계에서 논의돼 국내에서는 다루는 병원이 인하대병원을 포함해 손꼽을 정도인 뇌·심장 재활은 아직 일반 시민에게는 생소한 분야다.

인하대병원은 권역 심뇌혈관센터로 우수한 재활치료시설과 우수 인력으로 구성된 전문 재활치료팀을 가동해 환자들의 재활을 돕고 있다.

심장 재활의 경우 심근경색, 심부전증, 협심증 등 대부분의 심장 질환, 뇌 재활은 뇌졸중 등 대부분의 뇌 질환에 쓰일 정도로 범위는 상당하다.

뇌 재활은 ‘재활’과 ‘치료’ 중 치료에 초점을 맞춰 뇌 질환 이후 후유증과 합병증을 없애기 위해 걷기치료, 작업치료, 연하치료, 심리치료 등이 이뤄진다.

뇌 재활을 거치면 치료 초기 누워서 언어 장애를 겪던 환자가 3개월여 후에는 정상적으로 걸어다닐 정도로 효과가 뛰어나다.

심장 재활은 ‘재활’에 초점을 맞춰 환자 상태를 정밀 검사해 심장기능 강화를 위한 전문 운동프로그램을 구성해 주 3회 가량 재활운동이 이뤄진다.

무조건적인 가벼운 운동이나 높은 강도의 운동이 아닌, 심박동수나 산소섭취량 등을 전문분석해 심장을 운동할 수 있는 적정 시간과 강도의 프로그램이 구성된다.

많은 심장 질환 환자들이 정상적으로 퇴원했더라도 제한된 심장기능이나 재발 및 관련 합병증으로 고생하는 반면, 심장 재활을 통해 전체 심장조직을 다시 활성화해 정상적인 삶이 가능하다.

실제 학계 연구에서도 심장·뇌 재활로 관련 재발률을 20~30%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혈압, 고지혈증 등 위험인자에 대한 통제효과도 뛰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뇌·심장 재활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재활 프로그램의 치료시기로 가능한 빠른 시기, 늦어도 3~6개월 이내에 치료를 시작해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좌 교수는 “뇌 질환과 심장 질환은 서로 연관성이 높고 위험인자가 유사한 만큼 재활 치료로 후유증이나 합병증을 막아야 한다”며 “일방적인 산책이나 마라톤은 심장건강을 돕지 않고 오히려 해칠 수 있는 만큼 자신에게 맞는 관리방법을 전문가와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글 _ 박용준 기자 yjunsay@kyeonggi.com 사진 _ 인하대병원 제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