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방] 양평, 친환경 농업으로 블루오션을 찾다

신선한 로컬푸드+농촌체험+관광

양평이 대한민국을 넘어, 지구촌 최고의 친환경 농업의 메카로 거듭 나고 있다.

이 곳  친환경 농업은 농촌체험활동과 관광 등과 연결되는 점에서 다른 지자체와 차별화된다. 농촌체험도 하고 둘레길도 걷는 행복을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고장에서 친환경농업이 출발한 건 지난 1997년. 벌써 10년이 훌쩍 넘었다. 당시로는 획기적인 개념이었던 친환경농업은 수도권정비계획법 등 숱한 규제들로 인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지만, 이제는 블루 오션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 고장의 친환경농업은 갈수록 진화되고 있다. 역시 전국 기초 지자체로는 처음으로 로컬푸드 조성에 이어 ‘양평 물맑은 시장’(양평시장) 등 전통시장들과 공동으로 농촌체험 프로그램을 추가, 명실공히 ‘농촌관광’을 구현하는 등 외연을 넓혀가고 있기 때문이다. 단언컨대, 양평군과 양평지방공사, 양평시장 등은 명실공히 이 고장 친환경농업 발전을 이끌어 가고 있는 3대 엔진들이다.

이 고장은 전체 농경지 9천288㏊ 가운데 14.2%인 1천319㏊가 친환경농산물 인증 농경지(유기농업 532㏊, 무농약 737㏊)로 지정돼 운영되고 있다.

실제로 이 고장에서 친환경농업이 시작됐던 지난 1997년 농약 사용량은 39t이었으나, 지난해는 8t, 화학비료도 같은해 7천710t에서 지난해는 2천972t 등으로 급감한 반며 친환경농법을 실천한 농가는  지난 1997년 48가구에서 지난해는 5천565가구, 친환경농업을 인증받은 농가는 지난 1997년 한 가구도 없었지만, 지난해는 1천718가구로 급증했다. 로컬 푸드는 친환경농업의 중요한 축이다.

식품의 운송거리 단축(Food Mileage), 도시와 농촌의 상생, 건강 도시 구현, 환경친화적 식생활 실현 등이 키워드다.

양평군은 이를 위해 지난해 1월 양평 친환경 로컬푸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세미나를 거쳐 같은해 7월 지역의 대표적인 전통시장인 양평시장 내 친환경 로컬푸드 직매장을 개장하는 한편, 친환경 농업교육도 진행하고, 지난해말 친환경로컬푸드 협동조합을 창립하는 등 제도화했다.

양평군은 올해 친환경농업의 운영목표로 매출액은 12억원, 소비자회원 가입자는 4천명, 조합원은 150명 이상 확보 등으로 설정하고 ‘올인’하고 있다.

이와 함께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는 영농법인(공동체)들을 대상으로 국비를 포함해 5천만원으로 기획·개발·마케팅·홍보 등을 지원해줄 계획이다.

양평의 친환경농업은 이제 다양한 농촌체험 프로그램 등을 통해 업그레이드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양평시장과 공동으로 2차례에 걸쳐 전국에서 농촌관광객 5천여명을 유치했다.

이들은 농촌체험마을 13곳에서 농촌체험은 필수이고, 세미원과 두물머리, 용문사, 물레길 등 수려한 경관 즐기는 행복도 누리고 있다.

고건덕 양평시장 번영회장은 “양평시장을 찾으면 관광과 농촌체험 등도 함께 즐길 수 있다”고 말했다.

글 _ 허행윤 기자 heohy@kyeonggi.com 사진 _ 양평시 제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