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감염목 수는 줄었지만… 피해지역 15개 시·군으로 늘어
예찰인력 부족·GPS 오류 잦아 방제의 질도 시군별로 큰 차이 전문가 “권역별 방제 시스템을”
경기도가 소나무 재선충병 예방 및 방제에 총력(본보 28일자 6면)을 기울이고 있지만 해마다 피해가 되풀이되면서 방제 시스템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시ㆍ군별로 이뤄지고 있는 현행 예방 및 방제 시스템을 개선해 권역별로 실시하는 한편 전문적인 인력 교육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매년 소나무 재선충병을 예방하기 위해 항공 및 지상 방제, 예방나무주사 투여 등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도는 오는 3월 이전에 피해고사목을 제거하는 등 2019년까지 소나무 재선충병을 완전 방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난해 5월부터 지난 22일까지 소나무 재선충병에 걸린 경기지역의 소나무ㆍ잣나무는 4만여그루다.
이는 지난 2013년 5월부터 지난해 4월 이전까지 발생한 5만7천여그루보다 30%p가량 감소한 수치다.
하지만 정작 피해지역은 넓어지고 있는데다 감염목 수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도내 소나무 재선충병은 당초 지난 2006년 12월 광주에서 최초 발견됐다.
그러나 지난 2012년 포천, 남양주, 광주, 용인 등으로 피해지역이 넓어졌고, 지난해 5월부터 광주, 남양주, 포천, 성남, 용인 등 15개 시ㆍ군으로 확대됐다. 특히 평택과 여주는 소나무 재선충병이 지난해 처음 발견됐다.
재선충의 증식을 막기 위해서는 예방나무주사가 사실상 가장 확실한 예방책이지만 비싼 가격(㏊당 250여만원)과 약효가 2년에 불과, 예산상의 어려움으로 남한산성 등 주요지역에만 사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예방 계획을 세우기 위한 예찰활동 인력도 부족한 상황이다.
도내에는 32개의 산림병해충 예찰방재단이 시ㆍ군별로 운영되고 있지만 평균 예찰인력은 4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또 감염목의 위치가 입력된 GPS 좌표가 산속에서 오류를 일으키면서 부정확한 정보로 인해 예찰활동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소나무 재선충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시ㆍ군을 초월한 권역별 예방ㆍ방제활동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소나무 재선충병이 행정구역을 가리지 않고 퍼지고 있지만 시ㆍ군별로 방제의 질에 차이가 있는 상황이어서 광역지자체를 권역별로 나눠 전문적인 활동이 이뤄져야 한다”며 “감염목 수를 줄이는 노력과 함께 저지선을 구축해 확산을 막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경기도 관계자는 “확산 범위 저지 차원에서 피해고사목의 불법 이동 및 무단반출 행위에 대한 단속을 봄, 가을에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광주와 양평, 포천 등 7개 시ㆍ군의 경우 인력을 고용해 지속 점검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