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경기도 70년, 미래 30년

깨어난 서울의 변두리 공장 밀물 ‘공업도시’ 태동

해방 이후 경기도가 서울시에서 나눠져 독자적인 행정체계를 추진한지 반세기가 훌쩍 넘었다.

경기도는 70여년의 세월 속에서 수많은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획기적인 정책과 비전 제시 등을 통해 많은 광역자치단체의 롤모델이 됐다.

광복70년을 맞아 경기도가 걸어왔던 어제의 모습을 재조명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미래 비전을 모색해본다.

해방 직후 경기도

해방직후 중앙정치에서 전개된 좌우익의 대립 상황은 경기도내 각 지역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이로 인해 경기도는 어느 지역 못지 않게 정치적 분쟁의 소용돌이에서 많은 희생자를 냈다.

이후 미군정이 들어서며 경기도의 지방정치는 중앙정치와 다를 바가 없었다. 특히 당시 경기도는 서울을 포함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정치적 비중이 상당히 컸다.

이 때문에 미군정 당국이나 국내 정치지도자들 모두에게 경기도는 중요한 지역으로 인식됐다. 이런 가운데 지난 1950년 6월 발발한 한국전쟁으로 경기도는 또 한번 큰 피해를 받게 됐다.

도는 3년에 걸친 남북전쟁으로 인해 무려 12만8천740명의 민간인 인명 피해와 막대한 자산 및 시설피해를 입었다. 이렇게 피해가 컸던 이유는 북한 인민군의 주공격선이 모두 경기도를 통과했고 두 차례에 걸친 양군의 진격과 후퇴로 거듭되는 전란을 치렀기 때문이다.

경기도내 자행됐던 양주군 남면 상수리 남양 홍씨촌 집단학살, 파주군 임진면 마정리 임진강 갑바위 집단학살 등도 경기도 피해를 가중시켰다. 특히 휴전선에 인접한 경기북부 지역의 경우 남북간의 군사적 대립으로 인해 안보상의 이유로 많은 규제를 받게 되며 지역개발사업 등이 등한시됐다.

이후 군사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잡은 박정희 정부에 의해 경기도도 변화를 맞게 된다. 경제개발계획이 실행되면서 서울과 인천을 잇는 경인공업지역은 경제개발계획 단계부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경제개발과정에서 인천과 그 주변지역에는 공업단지가 본격적으로 들어서기 시작했고 나아가 서울을 둘러싼 수도권으로 공업지역이 확대되면서 경기도의 공업도 급속한 성장을 이뤄냈다. 이같이 경기도는 한국사회의 변화과정과 궤를 같이했다.

군사·전략적으로는 남북이 대치하는 현장으로, 경제적으로는 한국의 경제성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역으로 자리잡았다.

 

경기도청 수원 이전

현재 수원시 권선구에 위치한 경기도청이 광교 신청사로의 이전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이유는 너무나 낡고 오래된 건물이어서 늘어나는 인력과 행정 수요를 감당하기에 비좁고 비효율적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하지만 이 건물은 지어질 당시만 하더라도 수원시내 가장 최신식 건물로 평가받았다. 지난 1946년 8월 경기도에 속해있던 서울시가 경기도로부터 분리됐다.

당시 서울 태평로에 있던 경기도청은 졸지에 남의 행정구역에 셋방살이를 하는 신세로 전락하고 말았다. 도청사를 경기도내에 옮겨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했고 이때부터 17년간 경기도 각 도시 간 ‘도청유치전쟁’이 시작됐다.

지난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막연하게나마 ‘경기도청은 해당 행정구역내로 이전한다’고 결의하자 도내 각 지역에서는 본격적인 도청 유치운동을 벌였다. 후보지로는 수원시를 포함해 의정부시, 안양시 등도 대상 물망에 올랐다.

이 같은 청사문제 이전을 두고 발발한 625전쟁으로 도청 이전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잠시 중단됐다. 전쟁기간 중 경기도청은 대구와 부산 등지로 전전하다가 지난 1951년 3월 평택을 거쳐 수원에 임시로 자리를 잡게 된다. 하지만 이도 잠시, 2년 뒤인 지난 1953년 8월 수원에 있던 경기도청은 서울 태평로에 위치한 옛 건물로 다시 옮겨지게 된다.

이후 지난 1956년 초대 경기도의회 의원 선출 선거와 1958년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도청사 이전 문제는 뜨거운 쟁점으로 떠올랐으며 특히 수원시는 인천시, 안양시와 도청사 유치 경쟁을 치열하게 전개했다.

수원시는 도청유치위원회를 구성하고 수많은 유치운동을 벌이고 투쟁한 결과, 마침내 지난 1963년 12월10일 서울시 태평로에 위치한 경기도청이 관할구역내인 수원시로 이전하는 결과를 얻게 된다.

산업화의 중심으로…

4·19혁명과 5·16쿠데타를 거치면서 등장한 군사정권은 경제개발 슬로건을 내세우며 경제성장을 최우선 가치로 삼았다. 산업단지가 구축된 서울 및 인천 외에도 이들 지역과 인접한 안양시, 부천시, 성남시는 다른 지역보다 먼저 공업지대의 확산 과정을 겪게 됐다.

이 시기부터 수도권 공업의 중심지역이 점차 서울에서 경기도로 옮겨가게 됐다. 1960년대만 해도 제조업체 수가 33곳에 불과했던 안양시는 공업지대가 확산되기 시작한 1970년대 초 제조업체 수가 100여곳으로 늘어났다.

또 경수산업도로가 개통되면서 산업화의 속도는 더욱 탄력을 받게 됐고 1980년대에는 400개가 넘는 공장이 입주하게 됐다.

안양시의 급속한 산업화 확장은 90년대 이후에도 지속돼 남으로는 군포시와 의왕시를 지나 이미 대규모 공업지역으로 성장한 수원까지 연접하고 서쪽으로는 시흥시 및 안산시까지 연계되기에 이른다.

부천시 역시 지난 1968년 경인고속도로 건설과 1974년 수도권전철 개통 이후 가장 급격히 산업화된 도시로 꼽힌다.

성남시의 경우 서울의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1968년 성남시(광주대단지)를 개발하면서 이주민들에게 생업의 터전을 제공하여 자족도시로 개발·성장시킬 목적으로 공업단지가 조성됐다. 첫번째 단지는 지난 1974년 준공했으며 1976년 2·3단지가 완공돼 200여개의 업체가 입주하게 됐다.

이후 입지조건과 지가 등의 요인으로 더딘 성장을 보이던 성남시는 현재 판교 신도시의 자족기능 강화를 위해 ‘판교테크노밸리’가 조성되며 융합기술 중심의 첨단혁신클러스터로 급부상 중이다.

80년대 초만 하더라도 전국에서 가장 큰 염전지대였던 화성은 90년대 대규모 자동차 공장이 들어서고 서해안 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신규 공장 및 설립에 가속화가 붙었다. 90년대까지 350여개에 불과했던 화성 지역의 공장은 2000년대 들어서며 3천여개가 넘는 제조업체가 입주하고 있다.

정리=양휘모기자 사진=경기일보 DB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