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을 열면서] 재난 극복하고 세계적 명소로 거듭나야 한다

4ㆍ16 세월호 참사 1주기가 지났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는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진실게임과 책임공방 그리고 재발방지의 보장을 주장하지만 어느 누구도 확실한 대안 없이 안타까운 시간만 속절없이 흘러갔다. 왜 우리는 교훈을 얻지 못할까?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보다 방관하는 것은 아닌지?

정부는 유족의 뜻을 받아들여 세월호를 인양키로 했다. 비용은 고사하고라도 9인의 시신을 확인하고 정확한 원인이 규명된다면 반대할 명분은 없다.

성서에서는 99마리를 찾았더라도 잊어버린 한 마리 양이 중요하다 했다. 그러나 유족들이 명심해야 할 일이 있다. 인양 후 세월이 지나면 세월호도 분명 잊혀져 갈 것이라는 사실이다. 잊지는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적어도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고민해야 할 것이다.

첫째, 인양 후 세월호는 해저-해양박물관으로 개조돼 거듭나야 한다. 유족이 희망한다면 9인의 시신도 함께 안치되면 좋을 것이다. 그 위치는 동거차도 저수지 해안이 좋을 것이다.

단순 예인이기에 비용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는 침몰 지점(34도 22분 32초ㆍ126도 7분 59초)에 해저 41.6미터, 해상 41.6미터에 달하는 추모 등대를 세우고 우주로 향하는 레이저 빔을 밝혀 보내자.

4월 16일을 영원히 기억하자는 뜻이다. 세 번째 추모 탑 주위에는 흡파식 방파제를 두르고 해저 관광 기지로 삼는다. 우리는 4ㆍ19, 5ㆍ18 묘역이 단순 희생자의 넋을 기리는 곳이었으나 국립 묘지로 승격한 전례를 상기할 필요가 있다.

넷째, 침몰 지점 근처에는 해저 묘역을 조성하고 희망하는 분이나 전몰 장병의 유골 안치소로 활용한다. 해군은 전통적으로 수장(水葬)의 전통이 있다. 바다에서 활약했던 해군, 해병의 전몰장병 묘소로도 아주 적합하다고 본다.

한걸음 더 나아가 미래의 의료부활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첨단냉동 안장(冷葬)처를 마련하고 자국인과 세계인을 유치해 피라미드의 미라처럼 보존한다면 세계적 명소로 거듭날 수 있다. 무엇보다 희생된 어린 넋을 기리는 일이 될 것이다.

이번 참사에는 여러 이유가 겹쳤지만 세계해상조난안전체계(GMDSS)가 무력화된 것이 화근이었다. 1912년 타이타닉 호는 빙산충돌로 침몰했지만 조난신호를 청취하지 못하고 화를 키웠다. 2년 후 국제협약이 체결되고 24시간 청수(聽守)가 의무화됐다.

80년후 자동화 설비가 등장하면서 1992년에는 GMDSS체계로 전환해 비용과 사람을 줄여나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선박에서 개체되었지만 사람이 따라가지 못하고 (삼등항해사), 육상 해안국은 자동화 설비가 불비되었음에도 사람만 줄였다.

원래 안전대응 시스템에는 경제적 지속 가능한 수단이 별로 많지 않다. 발생 확률이 희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민수용과 군수용, 안보용과 헛개(사이버)용에 사용되는 모든 안전 장비와 인력을 상호 공유케 하고 연동체계를 우선해야 한다.

공중에다 드론(무인)탐사기를 촘촘히 드리우고 전천후 24시간 자동관제 체계를 유지하면서 지휘 통제 계통도 지능화 시켜야 한다. 초기 대응에 진력한다면 비용과 인재(人災)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경기도가 앞서 시행했으면 좋겠다.

진용옥 경희대학교 명예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