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메르스 대책회의 수원 등 7개 지역 12일까지 학사일정·운영 차질 불가피
메르스가 일파만파 확산되면서 경기도교육청이 학생과 교직원들의 감염을 막기 위해 7개 지역 학교의 일괄 휴업을 결정했다.
특히 휴업 장기화로 경기지역 교육 마비현상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법정 수업시수를 채워야 하는 일선 학교에서는 교육과정 운영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7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이재정 교육감 주재로 메르스 관련 대책 회의를 개최하고 수원, 화성, 오산, 평택, 안성, 용인, 부천 등 7개 지역의 모든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및 특수학교 1천255곳의 일괄 휴업을 결정했다. 휴업 기간은 8일부터 12일까지다.
학교급별로 유치원 413곳, 초등학교 451곳, 중학교 218곳, 고등학교 160곳, 특수학교 12곳, 각종학교 1곳 등이다. 해당 지역 외 휴업을 결정한 학교 103개교의 휴업도 그대로 유지된다. 이밖에 도내 1만3천259개 어린이집 가운데 화성, 오산, 평택, 안성 등 11개 시·군 2천475개 어린이집이 휴원했으며, 평택대 등 도내 4개 대학은 이날까지 휴강했다.
그러나 휴업 기간이 연장되면서 교육과정 운영 및 학사일정을 조정해야 하는 일선 학교에는 비상이 걸렸다.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45조에 따라 천재지변 발생 시 수업일수(190일 이상)를 10% 이내(19일)에서 단축할 수 있지만, 정해진 수업시수는 채워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각급 학교는 교과군의 최소 이수 시간(단위)을 확보하기 위해 교직원협의회, 교과협의회, 학업성적관리위원회(중등) 등의 협의를 거쳐 보충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1단위(주당 1교시 과목)당 한 학기에 최소 17차시(시수)를 채워야 하기 때문에 단위가 클수록 많은 수업시간을 연장해 보충해야 하는 실정이다.
특히 교육과정이 학기제로 운영되는 고등학교는 학년제인 초·중학교에 비해 과목별 수업시수를 탄력적으로 조정할 폭이 좁고, 중학교 역시 2학기 자유학기제 시행을 앞두고 있어 1학기 교과 운영 사정이 어려운 상황이다.
화성지역 A고등학교 교장은 “빠진 수업을 보충해야 하지만, 휴업이 장기화되면서 교과과정 운영에 타격이 불가피하고 수업 자체가 부실하게 이뤄질 가능성도 커졌다”고 한탄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이날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거나 감염이 의심돼 예의주시하는 학생과 학부모, 교직원이 21명이라고 밝혔다.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3명은 모두 학부모로 확인됐으며, 나머지 18명(학생 12명, 교직원 5명, 학부모 1명)은 의심대상자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보건당국으로부터 통보받은 게 아니라 당사자의 신고를 통해 확인한 만큼 추가 확진 환자 또는 의심대상자가 더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