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에 대한 경기도의 대응이 안산주민들의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다.
경기도는 최근 아무런 협의도 없이 안산시에 위치한 ‘청소년 수련원’을 메르스 격리시설로 지정한 뒤 아무도 모르게 무연고 메르스 격리 대상자를 후송시켰다가 강력 반발을 샀다.
경기도는 수련원을 격리 시설로 지정하기 전, 안산시와 협의를 거쳐야 했으나 이를 무시한 채 격리 대상자까지 이송하자 “도가 안산시민들의 뒤통수를 친 것 아니냐, 배신감을 느낀다”는 불만을 사고 있는 것이다.
특히 경기도는 수련원을 격리시설로 지정하면서 최소한 격리자를 검진하고 관리할 수 있는 의료진은 물론 의료장비 하나 갖추지 않은 채 격리 대상자를 이송, 메르스 대처를 형식적으로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까지 낳게 하고 있다.
상황 전개는 대략 이렇다. 경기도는 최근 광명시에서 주민등록이 말소된 50대 남성이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감염자와 같은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사실이 밝혀지자 별다른 검진도 없이 그를 수련원으로 보냈다.
50대는 광명시에서 주민등록이 말소된 것으로 확인돼 경기도에 관리를 요청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지난 11일 이 남성은 수원시 관내 의료시설로 후송됐으나 의료시설은 아무런 검진을 하지 않았다.
결국 50대 남성은 의료시설을 빠져나왔으며 다음날인 12일 광명시보건소를 찾아갔다가 그곳에서 경기도와 수련원으로 옮기자는 협의에 따라 이송하기에 이르렀다. 이 남성은 수원시 관내의 의료시설을 빠져나와 광명시 보건소에 찾아가는 동안 누구와 접촉했는지에 대해서는 파악하기 어렵다.
격리 대상자 관리를 경기도와 광명시가 소홀히 하는 동안 결국 안산시가 별도로 마련한 격리 시설에서 이상 여부에 대한 진단이 진행될 것이지만, 시민들의 불안은 쉽게 사그러들지 않을 것이다.
아직 메르스 사태는 끝나지 않았다. 격리 대상자에 대한 관리를 이번처럼 생각없이 한다면 언젠가 우리는 똑같은 사태를 맞을 수도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