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임진강 준설’ 깊어가는 갈등

도의회 오늘 ‘사업 중지·습지보호구역 확대 건의안’ 처리
추진위, 준설 요구 탄원서… 시민·환경단체는 “준설 반대”

▲ 한길룡 도의원 등 파주시 임진강 준설사업 추진위원회가 홍수예방을 위해 임진강준설 실시 등을 내용으로 하는 문산읍주민 7천여명의 연명부를 강득구 경기도의회 의장(가운데)에게 전달하고 있다.
경기도의회가 30일 본회의에서 처리예정인 ‘임진강 준설사업 중지 및 습지보호지역 지정 확대 건의안’을 둘러싸고 파주지역내 여론이 찬반으로 갈리고 있다.

 

파주시 임진강 준설사업 추진위원회(위원장 이승규, 이하 준설추진위)는 29일 홍수예방을 위해 임진강 준설 실시 등을 내용으로 하는 문산읍 주민 등 7천여명의 연명부를 경기도의회 의장 및 도시환경위원회 위원장에게 제출했다고 밝혔다.

 

탄원서에서 준설추진위는 “문산은 1996, 1998~99년 등 3차례에 걸쳐 수해가 발생, 막대한 인명(사망 35명)과 재산(피해액 1천78억원, 복구비 3천295억원)피해를 입은 지역이다”고 전제한 뒤 “정부까지 ‘임진강 하천정비기본계획’을 수립, 수해 최소화를 위해 한탄강댐, 군남홍수조절지, 임진강 하천정비사업 등 3가지 사업으로 수위저감을 분담하도록 계획했다”며 임진강 준설사업 중지 등에 정면으로 반대했다.

 

이승규 위원장은 “군남홍수조절지(완료)와 한탄강댐 설치는 거의 마무리 단계로 0.69m 수위저감이 가능하게 됐으며, 최종적으로 임진강 하천정비공사가 마무리돼야 나머지 0.35m를 저감해 목표수위를 달성할 수 있다”며 “임진강은 유역면적의 약 63%가 북한지역으로 2008년 황강댐 담수 이후 임진강의 유량이 약 67% 감소(8.37㎥/s에서 2.73㎥/s로)돼 하상퇴적이 점차 심화되고 있는 만큼 임진강하천정비사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파주지역 농민과 임진강·한강하구시민네트워크 등 시민·환경단체 회원들은 “비무장지대(DMZ) 일원의 임진강을 4대 강처럼 만들 수 없다”며 “지난달 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가 상정한 ‘임진강 준설사업 중지 및 습지보호지역 지정 확대 건의안’에 대해 지지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파주지역내 여론이 찬반으로 엇갈리면서 30일 도의회 처리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는 지난달 25일 양근서 의원 등 29명의 발의로 ‘임진강 준설사업 중지 및 습지보호지역 지정 확대 건의안’을 상정했다.

 

파주=김요섭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