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과 식품산업의 관계도 그 예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식품산업의 발전을 통해 농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그 연계성을 높이므로 농업의 수요를 높이고 결국에는 농업의 소득 증대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농업이 발전을 이루려면, 결국 농업의 수요를 높이는 것이다. 식품산업과 농업의 연계, 그리고 농업과 ICT 융합도 소비자의 농업 및 농촌의 접근성을 높이면 그 수요를 높일 수 있다. 생산자의 가장 큰 어려움의 하나는 판로의 문제이다. 생산자는 자신이 생산한 농산물을 어디에서 얼마나 원하는지를 알고 싶어한다. 이제 ICT의 통해 유통의 스마트화가 가능해지고 있는 것이다. 가공, 유통, 관광, 외식 등과 함께 농업은 융복합의 성과를 많이 낼 수 있을 것이다.
정책 또한 융복합 차원에서 접근하고 해결해야 할 것이다. 산업은 변하고 융복합화하고 있는 데, 정책은 과거 형태로 안주할 수는 없다. 산업의 융합은 정책의 융합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농식품부, 미래부, 문화부, 중기청, 공정위, 산업부 등의 부처들은 정책융합을 통해 변화하는 산업과 시장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농식품부의 농공상융합은 융합정책사업의 융복합 초보단계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농업의 문제를 농업 내부적으로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기에 앞으로 농업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에서 융합적 사고로의 전환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융합적 사고 전환을 위해 타부처 또는 타기관과의 협력 및 연계 사업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농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을 위해 농식품부,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산업부, 중기청, 중소기업유통센터, 중소기업진흥공단,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의 협력 및 연계사업이 좋은 예가 될 것이다.
또한 기존의 사업 중에서 협력을 통해 성과를 증대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기청의 나들가게 지원 사업과 농산물 판로확대 사업을 연계하는 방법이다. 나들가게 지원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동물류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현재까지 효율적인 공동물류시스템 구축이 미약하고, 이미 운영 중인 많은 공동물류센터도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농산물 판로확대 측면에서 기존 농업분야 공동물류사업과 연계하여 나들가게를 지원한다면 농업과 중소유통의 윈윈 시스템 구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농업과 전통시장 지원사업, 소상공인 진흥사업, 중소기업 판로지원 사업을 연계하는 방법 등을 통해 농식품의 판로 확대를 모색해 볼 수 있다.
이제 융복합 시대를 맞이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산업의 문제를 보아야 한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융복합시스템 구축을 통해 산업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특히 농업 분야에서 융복합이 많이 일어나야 하고, 그 성과가 나기를 바란다. 이러한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이 만들어지려면 융합에 장애가 되는 제도 개선도 필요할 것이다. 이제 정부, 국회, 산업계, 학계가 힘을 합하여 산업의 동력을 융복합화를 통해 회복시켜야 한다.
이정희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