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in] 폭염 뒤안길 후진국병 창궐

콜레라·식중독·지카 바이러스까지… 가을철 ‘전염병’ 주의보

제목 없음-1 사본.jpg
▲ 8월내내 영상 30도가 넘는 폭염이 이어지면서 경남 통영시 산양읍 앞바다 양식장 어류들이 집단 폐사하고 있다. 8월17일 오전 폐사해 물위로 떠오른 어류. 양식어민들은 폭염에 따른 어류 집단폐사는 20여년만에 처음이라고 입을 모았다.
올해 여름은 그 어떤 여름보다 혹독했다. 찜통더위란 단어가 무색할 정도였다.

 

110년만에 ‘최고폭염’을 기록했던 2016년 7월과 8월은 그 어떤때보다 폭염으로 인해 다사다난(多事多難)했다.

2016년 폭염전쟁…17명 목숨 잃고 수중사고 속출

8월 수도권의 평균 최고기온이 34.34도로 최악의 폭염으로 기록됐던 1994년보다 무려 1.74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07년 10월 수도권에서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기온이다. 역대 최악의 폭염으로 기록됐던 1994년의 같은 기간 평균 기온(32.6도)보다 무려 1.74도 높다.

질병관리본부의 온열질환 감시체계 운영결과를 보면 집계를 시작한 5월 23일부터 전국적으로 무더위가 꺾이기 직전인 8월 24일까지 온열질환 사망자는 모두 17명으로 집계됐다. 온열질환 사망자는 2012년 15명, 2013년 14명, 2014년 1명, 작년 11명이었다.

 

폭염에 직격탄을 맞은 피해자들 외에도 더위를 피하려고 해수욕장이나 계곡을 찾아 물놀이를 하다가 숨진 사망자도 올여름 속출했다.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여름철(6∼8월) 물놀이 사고 사망자는 총 174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1년 52명, 2012년 25명, 2013년 37명, 2014년 24명, 지난해 36명이었다. 평균적으로 보면 해마다 35명가량이 물놀이를 즐기다가 사망했다.

제목 없음-2 사본.jpg
▲ 수원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직원들이 8월23일 도내 학교급식 등을 대상으로 식중독균 등을 검사하고 있다. 최근 전국 곳곳에서 집단 식중독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는가 하면 15년 만에 콜레라까지 발병하면서 경기도 보건당국이 감염성 질환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먹거리 초비상… 식중독 증세 속출·콜레라 등 후진국병‘창 궐’

폭염에 먹거리도 비상에 걸렸다. 일선 학교 등 음식들이 폭염의 영향을 받아 식중독 공포가 국민들에게 확산됐다.

 

학교의 경우 전국적으로 복통과 구토, 설사 등 식중독 의심 증세를 호소하는 학생들이 속출했다. 폭염이 지속됐던 8월22일의 하루에만 서울과 경북, 부산, 대구에서 학교 급식을 먹은 학생 727명이 식중독 의심 증세를 나타낸 것으로 집계됐다. 신속검사 결과 이들에게서는 모두 병원성 대장균이 검출됐다.

엎친 데 덮친격으로 수산업계도 ‘콜레라’에 난리였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8월 30일 기준 전국 양식장에서 폐사한 어패류는 643만마리로 집계됐다.

 

보통 가두리양식장 등은 적정 수온이 22~24도이지만, 계속된 폭염으로 바닷물 온도가 30도를 오르내리는 등 이상 수온 현상이 계속되면서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었다.

 

피해액으로 따지면 85억원에 이른다. 이는 가장 큰 피해를 남겼던 2013년(52억원)도 당시보다도 훨씬 큰 규모다.

제목 없음-5 사본.jpg
▲ 폭염이 이어진 8월22일 강원 춘천시 서면 서상리 농부가 바짝 마른 가을배추 밭에 물을 뿌려주고 있다.
폭염이 오히려 반가웠던 이들… 쌀 풍년 청신호·모기 떼도 번식처 잃어

반면 폭염으로 인해 일부 농가는 반사이익을 누린곳도 있었다.

 

경기도 농식품유통과 직원들이 최근 폭염과 가뭄 피해 현지 점검과 농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벼는 유숙기(익어가는 단계)를 맞아 연일 계속되는 폭염으로 일조량이 풍부하다고 밝혔다.

 

특히 예년과 달리 태풍 기상 예보도 없는 상황이어서 올해 쌀 수확량이 예년보다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또 폭염으로 ‘여름철 불청객’ 모기로 인한 고생은 덜하게 됐다. 이를 연구한 학자들은 “모기 개체 수 감소는 무더위와 관련이 있다”며 “모기는 섭씨 24∼28도 사이에 가장 활동적인데 최근 30도를 넘는 기록적인 폭염으로 모기의 발육과 생존률이 떨어졌다”고 분석했다.

 

불볕더위로 물웅덩이가 말라 모기의 서식처도 함께 파괴된 것으로 설명된다.

 

제목 없음-6 사본.jpg
▲ 수원에 거주하는 10대가 캄보디아 여행 후 고열과 두통 등 지카바이러스 의심증세를 보여 당국이 조사에 착수했다. 9월5일 오후 수원시 팔달구 수원천에서 팔달구보건소 관계자들이 방역을 실시하며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글_조철오기자 사진_김시범·장용준·오승현기자·연합뉴스 제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