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차별 확산’ AI에 닭고기 자조금도 휘청, 악순환 반복되나

출하 늦어지고 대의원은 사태수습
올 책정 40억 중 17억5천만원 납부

조류인플루엔자(AI)가 전국을 강타하면서 양계업 발전을 목적으로 조성되는 ‘닭고기자조금’ 제도가 휘청거리고 있다. AI 여파로 육계 출하가 더딘 데다가 사업계획을 짜야 할 대의원들이 사태 수습에 매달리느라 한자리에 모일 기회도 없기 때문이다.

 

14일 닭고기자조금관리위원회(이하 위원회)에 따르면 위원회는 매년 닭고기 자조금 사업계획안을 수립한 뒤 농림축산식품부의 승인을 받아 양계산업 발전을 위해 사용하고 있다.

지난 2005년부터 시작된 닭고기 자조금 제도는 초복 행사 등 각종 양계업 홍보 및 사업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기금을 전국 양계농가들이 자발적으로 모으는 제도다. 농가들은 닭 1마리를 출하시킬 때마다 육계 5원, 삼계 3원, 토종닭 10원, 육용종계 30원을 납부해 매년 자조금이 조성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올해 필요한 자조금은 40억 원가량으로 책정됐으나 현재까지 납부된 금액은 고작 17억5천만 원 수준에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중순부터 시작된 AI 사태로 농가마다 살처분 피해가 급증, 닭 출하가 어려워 자조금을 납부할 수 없는 탓이다. 정부는 AI 확산을 막고자 지난 13일 0시부터 48시간 동안 스탠딩 스틸(이동제한조치) 등 여러 방역대책을 실시하고 있다.

 

더욱이 AI의 확산 기세가 수그러 들지 않으면서 전국 10개 시ㆍ도 66명의 대의원들이 저마다 사태를 수습하느라 내년도 사업계획안을 논의할 대의원회도 소집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사업 예산 승인이 지연되면서 결국 자조금 규모가 대폭 축소되거나 상당수 사업 집행에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AI 사태로 전국에서 1천500만여 마리의 가금류가 살처분 되며 가금류 산업 자체가 휘청거리는 상황 속에서 자조금 조성까지 차질이 생길 경우 향후 양계업에 상당한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닭고기자조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지난해에도 여러 이유로 사업 승인에 차질이 생겨 각종 사업을 진행하지 못하는 등 어려움이 있었는데 올해는 AI 때문에 더욱 심각한 상황”이라며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대의원회를 소집, 사업을 논의하는 등 양계산업 피해 최소화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진경ㆍ유병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