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의 기다림… 세월호 인양] 세월호 인양 후엔…

반잠수식 선박에 선적… 목포 신항 거치
정부, 합동수습본부도 현지에 설치 예정

3-1.jpg
세월호가 1천72일 간 아픈 상처를 간직한 사고 현장을 곧 떠난다. 세월호는 인양이 완료되면 반잠수식 선박에 선적돼 87㎞가량 떨어진 목포 신항에 거치된다.

 

23일 해양수산부 등에 따르면 목포 신항 이동 채비, 이동 후 고박 해제 및 선체 하역 준비, 선체 육상 거치 등의 절차를 거쳐 이르면 다음 달 4일 인양·거치 공정이 마무리될 전망이다. 정부는 세월호 선체가 목포 신항에 거치되면 합동수습본부를 현지에 설치할 예정이다.

 

진도 팽목항에 있던 유가족 지원 시설도 함께 옮겨진다. 그동안 팽목항은 세월호 침몰의 상징적 공간으로 각인됐다. 지난 3년 동안 실종자 가족, 미수습자 가족, 추모객들의 ‘기다림의 공간, 위로·추모의 장소’였던 팽목항은 이제 드넓은 바다에 잔잔한 파도처럼 아픔을 ‘조용히’ 간직하게 됐다.

 

세월호 인양이 마무리되면 목포 신항에 모든 이의 이목이 쏠릴 전망이다. 선체조사위원회가 선체를 수색·조사하게 되면 침몰 원인 등 세월호 진상규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수색 과정에서 미수습자와 실종자 유품 등의 발견 여부도 주목된다.

 

그러나 목포 신항으로 옮겨지는 세월호를 어떻게 할지는 아직 구체적으로 확정되지 않았다. 세월호를 있는 그대로 보존할지, 해체할지, 보존한다면 어디에 둘 것인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