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사고] 대형화재 잇달아… 말라버린 경기도

경기지역 화재 4098건 달해 화마가 휩쓸고 간 ‘황망한 春’

5월3일 의정부 구도심 상가에서 발생한 화재로 잿더미가 된 현장에서 관계자들이 사고원인과 사후처리 등을 논의하며현 장을 둘러보고 있다.
5월3일 의정부 구도심 상가에서 발생한 화재로 잿더미가 된 현장에서 관계자들이 사고원인과 사후처리 등을 논의하며현 장을 둘러보고 있다.
파랗고 높은 하늘의 맑은 햇살에 살랑거리는 바람까지 우리 기억 속의 봄은 항상 ‘맑음’이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중국發 황사 발원의 증가와 국내 미세먼지까지 연일 대기상태는 ‘나쁨’으로 숨쉬기 힘든 5월을 보냈다. 여기에 바싹 말라버린 대지는 화약고의 심지처럼 대형화재의 불씨를 안고 있는 듯 불안했다. 결국 경기도의 5월은 화마에 휩싸였다.

 

올해 1월~4월 말까지 경기도에 발생한 화재건수(경기도 재난안전본부)는 총 4천98건, 재산피해 액수만 89여 억원에 이른다. 이중 화성시와 광주시의 경우 각각 2억1천여 억원, 1억4천여 억원으로 화마가 쓸고 간 자리는 황망했다. 인천시의 경우 올해 군·구별 화재발생건수는 3월(179건), 4월(140건)로 건조한 대기와 맞물려 불씨가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노렸다.  

‘의정부 구도심 화재’ 30년 장사 터 삽시간 사라져
5월4일 오전 10시께 의정부시 의정부동 구도심 일대. 전날 밤에 발생한 화재로 잿더미와 앙상한 철제 구조물 등이 산처럼 쌓여 있는 현장에선 여전히 매캐한 냄새가 진동했다. 의정부의 대표 재래시장 등과 가까운 행복로 일대에서 5월3일 오후 8시29분께 큰불이 났다.

 

전날 석가탄신일로 인해 점포들이 일찍 문을 닫아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점포 32개가 불에 탔다. 이 중 점포 10곳은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었다. 화재 진압에 장비 54대, 인원 195명 등이 투입됐으며 소방 당국은 피해액이 5억5천만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문제는 이번 화재가 관리가 전혀 안 되는 구도심의 예견된 대형 사고라는 점이다. 특히 무분별하게 설치된 10여 개의 LPG 가스통,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비좁은 진입로, 소화전 미설치 등 안전에 취약한 전형적인 사각지대였다. 무엇보다 피해를 입은 점포와 건물주 상당수가 화재 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아 보상을 받기가 어려워 피해자들의 걱정도 커지고 있다.

부처님오신날·근로자의날·어린이날까지 황금연휴에 산불 곳곳
‘황금연휴’ 막바지에 전국에서 산불이 잇따르는 가운데 경기지역 곳곳에서도 산불이 발생, 몸살을 앓았다.

 

5월7일 경기도재난안전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52분께 수원시 장안구 이목동의 한 주택에서 전기 합선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 뒷산으로 번지면서 산불이 났다. 수원시와 소방당국은 소방차량 17대와 소방헬기까지 투입해 화재를 진압했다.

 

불은 30여분 만에 꺼져 소방서 추산 1천196만 원의 재산 피해를 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앞서 5월6일 낮 12시19분께 남양주시 수동면 한 야산에서도 불이 났다. 불은 잡목 등 임야 5천㎡를 태운 뒤 2시간 50분 만에 꺼졌다. 남양주시와 소방당국은 헬기 3대 등 장비와 소방인력을 동원해 불길을 잡았다. 

 

이밖에 5월7일 오전 9시29분께 의정부시 금오동과 오후 1시께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에서도 원인을 알 수 없는 산불이 나는 등 주말인 경기지역 곳곳서 크고 작은 산불 10여 건이 발생해 소방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한편, 인천 소래포구에서 3월18일 오전 1시 36분께 인천 남동구 소래포구 어시장에서 불이 나 6억 원이 넘는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소래포구 어시장에는 총 4개 지구(가∼라)에 걸쳐 비닐 천막으로 된 가건물 형태의 좌판 332개가 설치돼 있는 가운데 가∼나 구역의 피해가 가장 컸다. 또 뒤편 2층 건물에 들어선 횟집 등 점포 41곳 중 절반이 피해를 입었다.

5월18일 인천시 남동구 소래포구 어시장이 좌판 220여개와 상점 20곳이 불에 탄채 앙상한 뼈대만을 드러내고 있다.
5월18일 인천시 남동구 소래포구 어시장이 좌판 220여개와 상점 20곳이 불에 탄채 앙상한 뼈대만을 드러내고 있다.

글_지방종합 사진_경기일보DB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