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을 열면서] ‘일자리 정부’가 눈여겨봐야 할 ‘작은 일자리’

▲
최근 정부가 발표한 100대 국정 과제가 국민적 관심을 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핵심 과제인 ‘일자리 창출’에 거는 국민적 기대가 유독 높다. 실업자 100만 명 시대의 당연한 염원이기도 하다.

 

일하고 싶어도 일할 자리가 없는 구직자들에겐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더없이 반가운 일일테다. 국회 진통 끝에 통과된 정부의 일자리 추경안 소식은 그런 의미에서 더 소중하다. 비록 구직자가 아니라 하더라도 국민 전체가 어떤 식으로든 일자리에 목말라 있기 때문에 이제 정부와 정치권은 국민 염원인 ‘일자리 창출’에 열정과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예산이 없으면 정책을 집행할 수가 없다. 대통령의 진정성 있는 협조 호소와 끊임없는 설득으로 정부의 일자리 정책 추경안이 정말 어렵사리 통과되었다는 소식은 그래서 더욱 반갑다.

 

필자에게도 예산 통과 뉴스는 감동으로 다가왔고, 불현듯 대통령이 국회에서 호소하던 고독한 모습이 떠올랐다. 동시에 한 시민단체가 발달장애인들의 일자리 마련을 위해 힘겹게 노력하는 모습이 겹쳤다.

 

국민적 일자리와 발달장애인의 일자리는 비교할 수조차 없을 정도로 규모와 성격이 판이하다. 하지만 같은 점도 있다. 일자리 창출 과정은 어렵지만 그 가치는 실로 어마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둘 다 최종 목표가 ‘국민 행복’이란 점도 같다. 그래서 둘의 일자리 창출 노력은 서로 닮아 보인다.

 

지적장애와 자폐성 장애(자폐증, 아스퍼거 증후군, 기타 광범위성 발달장애) 등을 일컬어 우리는 발달장애라고 한다. 자폐나 지적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보호자 입장에서는 이들의 사회적 참여와 자립은 그야말로 꿈이고 최종 희망이다.

 

그런데 시민단체가 발달장애인과 함께 ‘쉬운 기사 만들기’ 작업을 하면서 전에 없던 일자리를 만들고 있다. 일반기사를 중고등대학생일반인 등으로 구성된 ‘온라인 자원봉사자’들이 1차로 쉽게 풀고, 쉬워진 기사를 발달장애인들이 정말 쉬운지 감수한다. 한글을 쓰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읽기 편한 기사로 바꾸기 위해서다.

 

우리나라가 명실상부한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모든 국민의 행복한 삶’이 보장돼야 하고, 특히 사회의 대표적 약자인 장애인이 차별받지 않고 생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장애인들의 정보 접근 통로인 ‘쉬운 말 뉴스 서비스’ 공익적 캠페인이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발달장애인에게 쉬운 기사 만들기 관련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이들로 하여금 지식산업에 종사할 기회를 마련하고, 일자리 창출에 힘을 보태고 있는 작은 시민단체에게도 뭔가 배울 것이 있어 보인다. 정부는 국민적 염원인 ‘일자리 창출’의 무거운 과제를 수행하면서, 아울러 사회적 약자도 참여할 만한 ‘작은 일자리 마련’ 노력도 빼놓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일자리 대통령, 일자리 정부는 이제 ‘일자리 창출’이라는 큰 국가적 목표를 향해 항해를 시작했다. 장애인, 노인, 다문화 가정, 노인, 경력단절여성 등 취약계층 국민을 위한 ‘작은 일자리’ 마련에도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

 

김정순 신구대 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