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입 전 신중을” VS “전 과목으로 확대해야”
일각선 내일 도입 반대 대규모 집회 계획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는 이날 교육부 발표 직후 입장문을 통해 “절대평가 도입 여부가 교육현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심도있게 교육부 시안을 검토해 최종 발표(31일) 전 입장을 발표하겠다”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교총은 이를 위해 고교 교사 2천~3천 명가량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다는 계획이다.
반면 전 과목으로 절대평가를 확대해야 하다는 의견도 잇따르고 있다. 구본창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2국장은 “1안 절대평가 일부 도입안은 이전보다 학교 교육이 파행적으로 돌아갈 수 있는 구조”라며 “기본적으로 상대평가 과목에 대한 입시 중요도가 쏠리면서 교육과정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을 양상으로 바뀔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사교육시장은 ‘상대평가과목에서 입시가 더 중요해졌으니 조기에 이 과목을 공부해야 한다’는 마케팅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 등 부작용이 더 많아 보인다”면서 “2안 틀을 유지하면서 국어, 영어, 수학의 경우 공통범위로 가는 것이 앞으로 수능개편안 확정에 교육부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라고 덧붙였다.
김재춘 전교조경기지부 정책실장도 “수능 개편 시안으로는 학교 교육에 대한 수능의 영향력을 약화시킬 수 없다”면서 “전체 과목 중 4개 과목만 절대평가를 도입한 1안은 개선이 아닌 ‘개악’”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확대한 ‘2안’은 전 과목 절대평가 도입이라는 면에서 긍정적이지만, 9등급제이기 때문에 절대평가의 의미를 제대로 살릴 수 없다”며 “수능 준비 중심 교육을 지속시키면서 변별력 시비만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편 수능 절대평가 전환에 반대했던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국민모임)은 “만약 2안인 전 과목 절대평가를 통해 정시전형을 무력화하고 현대판 음서제인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학생들을 선발하려는 만행을 추진할 경우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오는 12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절대평가 도입 반대를 위한 대규모 집회를 개최하는 등 교육부를 규탄한다는 계획이다.
김규태·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