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수능’ 절대평가 확대 시행

교육부, 최소 4과목 ‘절대평가’… 전 과목 확대 방안도 검토
통합사회·통합과학 신설… EBS 연계 출제 단계적 축소·폐지

올해 중학교 3학년 학생이 치르게 될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절대평가 과목이 4개 또는 전 과목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교육부는 절대평가 과목으로 통합사회·통합과학을 신설하고, EBS 70% 연계 출제 원칙을 단계적 축소·폐지하거나 교재의 새로운 문항 유형 개발 등 연계 방식 개선으로 추진한다.

 

박춘란 교육부 차관은 10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 시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전체 과목 중 영어와 한국사, 통합사회·통합과학, 제2외국어/한문 등 4개 과목에 한해 절대평가를 실시하는 ‘1안’과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2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신설된 통합사회·통합과학 과목은 문·이과 구분없이 인문사회·과학기술 기초소양을 지닌 융·합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해 도입했다. 대신 사회탐구/과학탐구와 같은 선택과목은 기존 최대 2개 과목선택에서 1개 과목선택으로 줄일 계획이다.

 

수능 출제범위는 2015 개정 교육과정상 공통과목과 일반선택과목으로 한다. 국어, 수학, 영어, 선택과목, 제2외국어/한문은 현재와 유사한 수준(고1~3)에서 출제하며, 모든 학생이 이수하는 공통과목인 한국사와 통합사회·통합과학은 교육과정 특성상 고1 수준으로 문제를 출제한다. 과목별 구체적인 출제범위와 문항 수, 배점, 시험시간 등은 개편안이 확정된 후 후속연구를 통해 오는 2018년 2월 말까지 확정·발표할 계획이다.

 

아울러 문제풀이식 수업 등 부작용 논란을 빚는 EBS 연계 출제는 단계적으로 축소·폐지하거나 연계율 70%를 유지하되 연계 방식을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생 간 무한경쟁과 과도한 시험 부담을 완화하고 스스로 성취 기준에 도달했는지 확인하자는 뜻에서 절대평가를 확대하기로 했다”면서 “적용 범위는 공청회 의견수렴을 거쳐 최종적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공청회는 11일 서울교대(수도권·강원권)를 시작으로 16일 전남대(호남권), 18일 부경대(영남권), 21일 충남대(충청권)에서 열린다.

김규태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