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개편 1년 유예 “공론화 과정 더 필요”…교육부, 대입체계 손질도 예고

수능 개편안과 관련해 교육계 안팎으로 발표 연기를 요구하는 목소리(본보 8월28일자 6면)가 높아진 가운데 교육부가 결국 수능 개편을 1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수능 개편안을 준비한 교육현장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등 향후 교육계 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31일 교육부와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이날 오전 정부 서울청사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확정을 1년 유예한다고 발표했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수능 개편안은 지난 정부에서 마련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연구하고 준비해 온 사안”이라며 “그러나 수능 개편 방안에 관한 이해와 입장의 차이가 첨예해 짧은기간 국민적 공감과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한계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정 안으로 확정하고 강행하기보다는 충분한 소통과 공론화 과정을 통해 합리적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최종적으로 개편을 유예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앞으로 수능 개편안 공론화와 다음 달 출범할 국가교육회의 자문 등을 통해 종합적인 대입 방안을 오는 2018년 8월까지 마련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고등학교, 대학교, 학부모, 정부 관계자 등 다양한 교육주체가 참여하는 ‘대입정책포럼(가칭)’을 구성해 대입전형과 앞으로의 수능 개편 등 새 정부의 교육개혁 방향에 대해 함께 논의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또 수능 개편안 유예와 함께 대학입시 체계 손질을 예고했다. 우선 사교육을 유발하는 요소를 개선하기 위해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양식을 과감히 개선하고, 대입 평가기준 정보를 대학과 협의해 공개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블라인드 면접과 입학사정관 회피제척 법제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의 이 같은 발표에 교육단체를 비롯해 학부모, 학생 등 교육계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에 교육 관련 시민단체들도 교육부 결정에 찬성과 반대 입장으로 나뉘는 등 혼란을 빚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수능 개편안으로 제시한 2가지 시안 모두 폐기하는 등 새로운 개편안을 검토해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내년 고등학교 1학년에 올라가는 학생들은 현행 수능(2018학년도)과 동일하게 치러지며, 시험 과목은 국어, 수학(가/나형 택1), 영어, 한국사(필수), 탐구(사회·과학·직업 택1),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구성된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