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하다”·“연례행사” 등 각양각색
모호한 대북정책 정부 질타하기도
휴일인 3일 낮 북한의 핵실험에 따른 것으로 추정되는 지진이 발생하자 경기지역 시민들은 다양한 의견을 쏟아냈다. 북한의 반복되는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에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며 불안해 하는가 하면, 대북 강경 노선을 펼치지 않는 정부를 질타했다.
수학학원을 운영하는 신은숙씨(48ㆍ여)는 “운전하면서 라디오로 (북핵 실험에 따른 지진 발생) 소식을 전해 들었다”며 “핵이 터지면 모든 게 다 끝이다. 북한이 이런 행동을 하는 것은 국제 관계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함일텐데 얻는 것보다는 잃는 것이 더 많은 핵실험 등은 당장 그만두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DMZ안 파주시 장단면 통일촌마을 이완배 이장(65)은“ 예전과 다른 북한의 핵도발에 조용하지만 긴장속에 예의 주시하고 있다. 방공호대피는 하지 않았으나 방송으로 북한의 예기치 못한 도발에 대비해 상시적으로 준비하자고 했다”라며 “이번 기회에 북한의 상습적인 도발을 끊기위해 정부가 단호한 대책을 취해 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대화를 강조한 현 정부의 대북 정책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일었다.
직장인 문채석씨(24)는 “정부 정책이 너무 모호한 것 같다. 북한 입장에서 과연 미국과 중국이 아니라 한국에 위협을 느낄지 의문”이라면서 “군사적인 압박을 직접 언급하기 어렵다면 비공식적인 루트를 동원해서라도 북한의 돈줄을 끊는 등 단호할 때는 단호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무덤덤하게 상황을 대하는 모습도 보였다. 사설 영어학원 강사 김경린씨(24)는 “점심시간에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접했는데 그저 북한의 연례행사 중 하나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학생들도 크게 동요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긴 마찬가지였다”고 담담해했다.
이와 관련, 남성욱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의 이번 도발로 긴장을 최대치로 끌어올렸기 때문에 협상테이블에서 한국이 빠질 것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손무현 대경대 한국군사연구소 소장은 “미사일에 핵무기를 탑재하면 북한은 미국 등 어디에든 핵을 쏠 수 있는 위협적인 나라가 되는 만큼 정부가 직접 나서 정치적, 전략적으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요섭ㆍ김규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