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불용 원칙엔 공감 원유공급 중단은 이견
하지만 양 정상이 남·북·러 3각 ‘메가 프로젝트’ 추진에 합의함에 따라 북한의 극동개발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다각적인 협력이 추진될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6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북핵을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으나 현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검토 중인 대북 원유공급 중단 등 고강도 제재 조치를 놓고는 견해 차이를 보였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 때문에 국제정치 상황이 아주 엄중해졌다”며 “여기서 북한의 도발이 멈추지 않으면 통제할 수 없는 국면으로 빠져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의 도발을 멈추게 하고 북핵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함께 모색하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문 대통령은 “북한이 최초의 6자회담에 응하지 않아 중국이 원유공급을 중단한 적도 있는데, 그 이후 북한이 6자회담에 참여했었다”고 말해, 대북 원유공급 중단 조치가 북한의 대화 복귀에 효과적인 압박수단임을 강조했다.
이에 푸틴 대통령은 “아무리 압박해도 (북한은) 안보를 지키기 위해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러시아는 1년에 4만t 정도의 석유를 북에 수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우리도 북한의 핵개발에 반대하고 규탄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원유공급 중단이 북한의 병원 등 민간에 대한 피해를 입힐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반도 사태는 제재와 압력만으로는 안 된다”며 “감정에 휩싸여 북한을 막다른 골목으로 몰면 안 되고 냉정하게 긴장 고조 조치를 피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정치외교적 해법 없이는 현재 상황을 해결하기 어렵다”고 말해, 현재 유엔 안보리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고강도의 제재·압박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이런 가운데 두 정상은 극동지역 개발을 중심으로 한 남·북·러 3각 협력을 적극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문 대통령은 “저와 푸틴 대통령은 한반도와 극동지역을 연결하는 남ㆍ북ㆍ러 3각 협력의 기초를 확실히 다져나가기로 했다”며 “이는 그동안 많은 논의가 있었는데도 북핵 문제 등으로 진전이 없던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또 “극동지역은 러시아 신 동방정책과 한국의 신 북방정책이 서로 만나는 공간”이라며 “극동지역 개발의 최적 파트너는 바로 대한민국”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푸틴 대통령은 “이런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는 경제협력 강화뿐 아니라 한반도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게 될 것”이라고 문 대통령의 구상에 화답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