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북미 연쇄 정상회담이 열릴 예정이어서 ‘비핵화 6자회담’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4월 말 판문점에서 개최되는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5월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되기 때문이다.
북미 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격적으로 북한의 대화 제의를 수용하고 나서면서 이뤄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11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에는 4월에라도 북한과 만날 수 있다고 이야기를 했는데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이 우선 남북이 만나고 난 뒤 북미가 만나는 게 좋다고 말해 5월로 조정된 것”이라고 말했다.
2000년과 2007년 진행된 제 1·2차 정상회담 의제가 남북 관계에 초점이 맞춰 있었던 것과 달리 3차 정상회담은 북미 관계 개선을 위한 중재 역할에 방점이 찍혀 있다. 따라서 정부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선언적 수준을 넘어 ‘합의’로 이끌어내는 데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은 이날 오후 귀국과 함께 문재인 대통령에게 5월 북미정상회담 개최 결과와 향후 일정 등에 대해 보고했다.
이들은 12일 다시 남북대화, 북미대화 상황을 주변국에 설명하기 위해 중국·일본 등으로 떠나며 숨가쁜 ‘설명 외교’를 펼친다. 이들의 외교전은 남북관계를 큰 틀에서 복원하고 교류·협력을 활성화하는 차원을 넘어 한반도 문제의 ‘직접 당사자’로서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북미 정상간 ‘합의의 기초’를 다지는 기회를 마련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정 실장은 12~13일 중국에 머문 다음 귀국하지 않고 곧장 러시아로 향해 다시 이틀 가량 머문다.
정 실장, 서 원장 일행은 지난 9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트럼프 대통령 만남 의사를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항구적인 비핵화 달성을 위해 김정은 위원장과 올해 5월까지 만날 것”이라고 답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