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데드라인’ 닥친 위기의 한국GM] 하. 전문가 해법
인천 ‘데드라인’ 닥친 위기의 한국GM

[‘데드라인’ 닥친 위기의 한국GM] 하. 전문가 해법

“브라질 + 호주식 해법 절충안, 사태 해결 대안”
정부 지원·노사간 합의 통해 3~5년 시간 확보
완전 철수시 전기車 등 산업전환 토대 준비해야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군산공장 폐쇄로 불거진 한국GM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골든타임’이 속수무책으로 흘러가고 있다. ‘부도’우려 ‘데드라인’인 20일까지 보름 남았다.

 

한국GM의 ‘경영 정상화’ 또는, ‘완전 철수’라는 양극을 달리는 시나리오를 두고 경영정상화를 위해서는 ‘브라질식 해법’이, ‘완전 철수’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서는 ‘호주식 해법’이 거론되고 있다.

 

브라질식 해법은 GM이 정부 지원을 통해 법인을 회생시킨 모델이다. 지난 2014년 글로벌 구조조정 드라이브를 건 메리 배라 GM 회장은 타겟으로 브라질 법인을 삼았지만,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이 세금감면, 대출 등 정부지원을 감행하고 노조도 7% 임금 삭감을 수용하며 고통을 분담했다. 이에 GM은 현지 사정에 맞는 다품종 신차를 투입하고 5년간 3조원을 투자했다.

 

이와 달리, 호주식 해법은 전면 철수라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한 뒤 기존 내연기관 중심의 공장을 활용, 미래가치가 높은 전기차 공장으로 탈바꿈한 일종의 온고지신 방식이다. 호주 정부는 2014년부터 GM의 철수가 시작되자 단계별로 실직자 보호조치를 취하는 한편, GM이 매각한 공장을 전기차 공장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해 현재 마무리 단계다.

 

전문가들은 브라질과 호주식 해법중 하나를 한국GM 사태 해결 방안으로 삼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지적한다. 브라질식 해법의 핵심은 탄탄한 내수시장이 기반이 돼야 하고, 호주식 해법은 새로운 자본의 유치라는 숙제를 풀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브라질·호주식 해법을 절충, 한국GM 현실에 맞게 적용하는 방법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김용진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는 “브라질은 자체 성장 가능성을 두고 정부에서 세금을 감면하고 대출을 해줬다”며 “중요한 것은 GM이 투자를 했다는 것인데 이는 브라질의 경우 내수시장만으로도 극복이 가능하지만, 한국은 수출중심이기에 이 방식을 적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호주식해법의 경우 한국GM이 떠난 뒤 타 기업에 인수될 수 있다는 것인데 생각자체가 너무 안일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박상인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브라질식 해법은 대통령과 직접 담판을 내는 것으로 정부를 끌어들여 해결하는 방식”이라며 “브라질에서 성공한 이유는 GM브라질 공장에서 만드는 차가 브라질 내수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내수시장이 안정적이기 때문으로 수출위주의 한국GM과는 성격자체가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연학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초빙교수는 “호주식 해법은 경착륙으로 GM이 완전히 철수하고 새로운 자본이 들어와서 전기차 회사를 만든 것인데 정상화하는 데 시간이 오래걸린다”며 “호주식 해법은 공장부지만 자신들이 쓴다는 것이지 종업원도 다시 뽑아야 하는 등 기존 노동자의 희생을 강조하는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정승연 인하대 국제통상학부 교수는 “정부가 지원을 한다고 해도 이후에 철수할 가능성이 높지만, 당장 지원을 끊는 것이 옳다고 말하기도 어렵다”며 “브라질과 호주 해법의 중간 정도로 하되 무작정 양보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 지원과 노사합의를 통해 3~5년 시간을 벌면서 GM이 떠날 경우 전기차 등 다른 산업으로 연착륙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