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7기, 협치의 시대] 2. 시·군과 협치플랫폼 구축

정책협력시스템 가동 ‘갈등 없는 도정’ 실현

3일 오후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아파트 단지를 방문한 이재명 경기지사(왼쪽)가 근처 아스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로 고통받는 지역주민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 연합뉴스
안양 아스콘공장 갈등 해결나선 李 지사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3일 안양시 연현마을을 방문해 주민들과 아스콘공장 재가동 문제에 대해 대화를 나누고 있다. 이날 이 지사는 갈등 해결을 위해 경기도와 안양시, 입주민, 사업자가 함께 4자 협의체를 구성해 해법을 찾자고 제안했다. 경기도 제공
“대한민국 최대 자치정부인 새로운 경기도에서 31개 시ㆍ군은 특색 있고 조화롭게 발전할 것입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난 1일 취임사를 통해 강조한 메시지다. ‘새로운 경기’를 표방하는 이 지사와 31개 시ㆍ군은 운명 공동체처럼 엮여 있다. 이 지사는 도정 개혁을 위해 북부 통일경제특구 설치, 동부 상수원 규제 개혁, 서ㆍ남부 혁신기지 조성 등 지역별 과제를 달성해야 한다.

기초단체장의 경우도 변화의 바람 속 취임한 더불어민주당 소속 29곳과 변함없는 신뢰 속 당선된 자유한국당 소속 2곳의 단체장이 각각의 공약을 달성하기 위해 도와 협력 관계를 구축할 듯하다. 이에 도 집행부와 도의회 간 점화된 ‘협치의 불꽃’이 도와 시ㆍ군 간에도 옮아붙을 전망이다.

 

이 지사가 도와 시ㆍ군 간 협치를 위해 준비하는 첫 과제는 ‘정책협력시스템’이다. 도와 시ㆍ군이 공동으로 정책을 마련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광역과 기초 자치단체가 함께 정책 의제를 설정하고 집행, 평가하면서 신뢰관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가칭)시ㆍ군 정책기획부서협의회를 설립할 계획이다. 협의회가 사업의 기획단계부터 단체 간 중복 회피와 연계 협력 등을 맡아 협치에 힘을 실어준다는 복안이다.

 

이어 ‘갈등 없는 도정’을 위해서도 전력투구한다. (가칭)정책협력위원회를 설치, 갈등의 소지가 있는 지역ㆍ영역을 대상으로 협치플랫폼을 실행한다. 위원회는 시ㆍ군 간 갈등 예상 사업들에 대한 도 차원의 체계적 대응을 맡는다. 

위원회의 역할을 돕고자 갈등조정관을 별도로 임명, 시민사회 속 소통 역량을 강화한다는 복안이다. 특히 매년 ‘경기지방정치축제’를 통해 화합의 장도 마련한다. 축제는 도민, 국회의원, 지방정치인, 공무원 등 이해 당사자들이 총출동하는 대토론 형태로 틀이 잡히고 있다.

 

아울러 최근 추진 중인 집행부ㆍ도의회 상시적 소통기구처럼 시ㆍ군 단체장과도 소통 체계를 구축한다. 다만 북부(통일, 군사), 동부(상수원ㆍ농지 규제), 서해안ㆍDMZ(첨단 자연생태 관광) 등 지역별로 상황이 다른 만큼 각 단체장과 맞춤형 모임을 만들 예정이다. 

이와 함께 31곳 단체장과 통합 SNS 대화망도 조직, 수평적 소통을 강조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시ㆍ군에 필요한 정책 연구를 제공하는 도 공공연구소ㆍ공공기관의 역할과 단체 간 용역보고서나 정책자료를 공유하는 ‘온라인 정책도서관’도 민선 7기의 협치 청사진 중 하나다.

 

이재명 도지사는 “민선 7기 경기도는 각 지자체의 특성에 맞게 합리적인 지원에 나설 것”이라면서 “1천300만 도민의 삶이 개선될 수 있도록 생색내기가 아닌, 일선 시군과 진짜 협치로 상생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규태ㆍ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