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프리즘] 박남춘 시장의 소통과 협치, 성공하려면

▲
박남춘 인천시장은 취임사에서 “오늘은 저 혼자 시장에 취임하는 날이 아니라 300만 시민 모두가 인천의 주인으로서 시장에 취임하는 날”이라며 “공정, 소통, 혁신으로 인천의 가치를 키우고 시민의 자부심을 높이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당선 이후 줄곧 강조해온 시민사회와의 소통과 협치를 위해 시민이 참여하는 위원회를 많이 만들어 ‘시민특별시’를 열겠다는 거다. 사뭇 거창한 포부인데, 저잣거리에선 벌써 그의 ‘특별시’에 살 ‘시민’은 누구냐를 두고 설왕설래가 많다. 위원회 명단이 드러나면 박 시장의 소통·협치가 시험대에 오를 거다.

 

한편, 인천경실련과 YMCA는 민선 7기 시정부가 풀어야 할 현안 과제를 제시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를 11일 마련했다. ‘인천에도 봄(春)은 오는가?’란 행사명으로 열린 토론회에서 한 토론자는 언론지상에 나온 박 시장의 공약을 시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없었다고 고발(?)했다. 새로 개설된 ‘시민시장실’의 ‘공약사항공약소개’ 메뉴에 들어가 보니 ‘콘텐츠 준비 중’이란 거다. 선거 당시 200개였던 공약이 148개로 조정됐다는데, 공약 보고 지지한 유권자 입장에선 도대체 어떤 잣대로 의견수렴을 거치고 있는지 알 도리가 없다는 문제 제기다.

 

한데 이날 시는, 시정방향을 시민들에게 알리고 체계적인 정책추진 로드맵 마련을 위해 ‘인천시정 4개년 계획’을 수립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그도 그럴 것이 인수 과정과 취임 후 행보에서 기존 시정현안을 번복했다가 해당 현안지역 야당 국회의원의 반발만 샀다. 게다가 소통과 협치 외에 마땅히 4년간의 큰 시정 그림을 내놓은 게 없다보니, 발등에 불일 거다. 박 시장의 당선 가능성은 일찌감치 점쳐졌다. 지지행렬이 이어졌고, 선거기간 내내 인사 및 시정운영은 이미 준비됐다는 소문이 무성했다. 하지만, 연말에나 가닥이 잡힐 듯하다.

 

작금의 혼란은 그동안 인천 발전을 위해 고군분투해온 지역사회에겐 적신호나 다름없다. 정부와 정치권의 부산 중심적 해운항만정책과 수도권 규제, 중앙의 ‘갑’질 행정을 극복하기 위한 현안 대응이 한창인데, 새 정부는 현장 결합은커녕 나갈 가닥조차 못 잡았으니 적기를 놓칠까 걱정된다는 거다. 이번 토론을 준비한 이유다.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남북 경제협력과 개헌 정국에서 박 시장이 인천의 이익을 위해 몸소 나서서 우선적으로 해결할 당면 과제를 제시하고, 그간 축적한 인천 시민사회만의 해법도 건넨 거다.

 

요약하면 △인천이 주도하는 서해평화와 경제수도 건설해야 △지방분권형 개헌 정국 겨냥해 인천型 지방분권 과제 이슈화해야 △소통·협치 행정 펼쳐 300만 인천시민을 특별한 시민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거다. 이를 실현할 동력이자 해법으로 “해경 부활! 인천 환원!” 사례를 제시했다. 민정이 ‘소통’하고 여야가 ‘협치’했던 ‘여야민정’을 말한다. 최근 이뤄낸 ‘한국GM 조기 정상화 및 인천 경제 살리기’ 성과도 매한가지다. 당시 현장에 있었던 인천시민과 여야 정치권이 당면 과제를 해결할 검증된 동력이란 거다. 이제 박 시장은 인천시민을 대표해서 그 중심에 서는 것만 남았다. 제대로 된 소통·협치 행정을 촉구하는 바이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