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정상회담 하루 앞두고도… 여야 극명한 ‘온도 차’

여야는 3차 남북정상회담과 관련, 서로 다른 주문을 내놓으며 평행선을 달렸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진보 성향 정당은 남북정상회담이 한반도 평화 시대를 견인할 수 있다고 기대감을 표출한 반면, 범보수 야당은 실질적인 비핵화가 견지돼야 한다며 전방위적 압박을 가했다.

 

민주당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17일 브리핑을 통해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해서는 정치는 물론 경제·문화·종교 등 다방면에서의 남북 교류가 함께 이뤄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다방면의 활발한 교류 협력은 분단의 장벽을 낮추고 마음의 거리를 좁혀 화해와 평화의 지름길이 될 것”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그러면서 그는 “3당의 정당 대표들이 함께하는 만큼, 이번 정상회담이 국회 차원의 남북 화해 협력과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초당적인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도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 당이 가고 있는 평화체제를 위한 한반도의 길을 더욱 확신을 가지고 갈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의당 정호진 대변인 역시 논평을 통해 “이번 정상회담이 판문점 선언 합의 내용을 진전 시키고 한반도 평화의 확고한 이정표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반면 범보수 야당은 비핵화에 대한 검증과 이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된 성과를 요구했다.

 

자유한국당 윤영석 수석대변인은 “지난 두 차례에 걸친 선언적 성격의 남북정상회담과 달리 북한의 비핵화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며 “북한의 핵무기, 핵물질, 핵시설 목록 신고와 구체적인 비핵화 시간표에 대한 확답을 받아야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이어 “북한의 군사위협이 여전한 상황에서 우리 군의 일방적인 무장해제와 방어 전력을 훼손시킬 수 있는 무리한 합의를 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지적했다.

 

바른미래당 김삼화 수석대변인도 “비핵화와 군사적 긴장 완화 성과로 한반도 평화가 정착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면서 “다만,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실질적인 비핵화 조치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꼬집었다.

 

특히 그는 “북한의 경제 제재 위반과 관련,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가 소집되는 상황이어서 국제사회의 우려를 씻어낼 책무가 있다”고 압박했다.

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