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전국의 청소년들이 정조대왕의 ‘효(孝) 사상’이 살아 숨 쉬는 수원에 모여 효를 주제로 열띤 토론을 벌였다.
수원시와 경기일보는 지난달 27일 경기대학교 종합강의동에서 ‘제5회 전국 초ㆍ중ㆍ고등학생 효(孝) 실천 토론대회’와 ‘효 백일장 대회’를 개최했다. 정조대왕의 효 사상을 기리고 자라나는 청소년에게 효의 정신과 가치를 심어주고자 마련된 이번 대회는 ㈔경기문화관광연구사업단과 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가 주관했으며 경기대학교가 후원했다.
이날 대회에 앞서 열린 개회식에는 조명자 수원시의회 의장, 신화균 수원시 복지여성국장, 김우정 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장, 최종식 경기일보 기획관리이사 등이 참석했다.
신항철 경기일보 대표이사 사장의 개회사를 대독한 최종식 기획관리이사는 “이번 대회를 통해 하고자 하는 말을 정확히 전달하고 타인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는 ‘소통’의 중요성을 배울 것”이라며 “효의 고장 수원에서 가정과 사회의 근간이 되는 효의 정신을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들이 담아가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조명자 수원시의회 의장은 “정조대왕의 효심이 곳곳에서 살아 숨 쉬는 수원에 방문한 전국의 청소년 분들을 두 팔 벌려 환영한다”며 “이번 대회에서 학생 여러분이 갖고 있는 효에 대한 생각을 떨지 말고, 편안한 마음으로 마음껏 펼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한 32개 팀(초등학교 16개·중학교 8개·고등학교 8개)의 초·중·고등학생들은 효를 주제로 치열한 토론을 펼쳤다. 1개 팀당 인원은 4명으로 구성됐으며 토론시간은 초등부 20분, 중등부 30분, 고등부 40분 등으로 배정됐다.
이날 대회의 토론주제는 ▲초등부(가족 사이에는 착한 거짓말을 해도 되는가/치매 걸린 부모를 직접 봉양해야 하는가 요양원에 모셔야 하는가) ▲중등부(부모에게 순종하는 것과 경제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 중 올바른 효도방법은 무엇인가/부모가 반대하는 결혼은 강행해야 하는가 포기해야 하는가) ▲고등부(반포지효(反哺之孝)의 까마귀처럼 부모를 봉양하는 동물이 있다면 효는 인간만이 갖고 있는 본성이라고 할 수 있는가/효경(孝經)의 ‘부모에게 받은 몸을 감히 훼손하지 않는 것이 효의 시작이다’라는 문구가 있는데 과연 효는 개인의 신체적 자유나 인권보다 앞서는 것인가) 등으로 구성됐다.
심사는 토론주제에 대한 이해, 준비와 관련된 충실성, 그리고 논리성, 협동성 등을 기준으로 평가했다. 대회결과, 고양 목암초등학교 ‘잘해孝’팀, 화성 동탄중학교 ‘아고라’ 팀, 가평 청심국제고등학교 ‘토다라’ 팀이 각각 영예의 대상을 차지했다. 특히 가평 청심국제고등학교 ‘토다라’ 팀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우승을 거머쥐었다.
김윤지(18·여)·문정현(18)·이정빈(17·여)·강호성 학생(17·여)으로 구성된 ‘토다라’ 팀은 결승전 주제인 ‘모든 부모는 자식으로부터 효도를 받을 자격이 있는가’에서 반대 입장에 서서 논리를 펼쳤다. ‘토다라’ 팀은 대회 연패의 이유로 매주 실전을 방불케 하는 연습이 뒷받침된 것 같다고 분석했다.
글_강현숙ㆍ채태병기자 사진_김시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