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 7호선 예타 면제… 긴박했던 6개월] 평화시대 남북경협의 거점도시 新도약

민관 합심 오랜 숙원 ‘철도 유치’ 주력

지난 1월29일 도봉산 포천선(옥정∼포천) 전철 7호선 사업이 정부의 예타면제 사업으로 선정됐다. 당시 신분당선 호매실 연장 사업이 사실상 경기도 예타면제 사업 1순위로 거론됐고, 여기에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수도권은 이번 예타면제 사업에서 제외될 것이란 뉘앙스를 풍기면서 예타 면제 가능성은 낮아보였다. 하지만, 박윤국 시장은 아랑곳하지 않고 전철 7호선 예타면제 사업 선정을 확신했다. 특히 1월16일 서울 광화문 궐기대회 이후 그 확신은 더욱 강해졌다. 결국 전철 7호선 예타면제 사업이 확정되면서 박 시장의 철도 유치를 위한 행보에 관심이 쏠렸다.  

철도 유치에 절박했던 포천시, 민선 7기 박윤국 시장의 돋보인 리더쉽

수도권에서 철도가 들어가지 않는 곳은 남부의 안성시와 북부의 포천시 뿐이다. 그나마 안성은 도로가 사통팔달로 뚫려 있어 철도유치 필요성을 덜 느낀다. 그러나 포천은 다르다. 고속도로라고는 2017년 6월에 개통된 구리∼포천고속도로가 전부다. 수도권이지만 역차별을 받아 지난 10여 년 간 인구도 1만여 명이나 줄었다. 무엇보다 철도유치가 간절했다. 2016년 5월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6∼2025년)에 도봉산 포천선이 포함돼 시민들은 철도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우선순위에 밀리면서 아예 사라질 위기에 봉착했다.

지난해 7월 민선 7기 박윤국 시장이 들어서면서 평화시대 남북경협 거점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철도망 구축을 최대 역점사업으로 정했다.

정부 균형발전위원회의 예타면제 사업 선정 발표 

지난해 10월24일 정부는 ‘혁신성장과 일자리창출 지원’을 위한 공공투자프로젝트를 선정해 선정된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기회가 왔다고 판단한 박 시장은 11월12일 이재명 경기지사를 만나 전철 7호선 도봉산 포천선 연장(옥정~포천) 사업을 정부 예비타당성 면제사업 후보로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11월14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철도유치를 위한 국회세미나를 두 번째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 앞서 축사에 나선 박순자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은 “포천시가 접경지역으로 안보의 최전선이 아닌 남북경협 거점도시로 재조명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 철도유치에 물심양면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사격장 범대위 전면에 나서며 박윤국 시장의 광폭 행보에 힘싣어

포천시 사격장 등 군 관련시설 범시민대책위원회(범대위)는 11월16일부터 22일까지 철도유치를 위한 서명작업에 돌입, 일주일 만에 35만4천여 명의 서명을 받아 청와대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전달했다. 서명에 참여한 수는 포천시 인구의 2배에 달했다. 서명부를 받는 자리에서 송재호 위원장은 “경기북부지역의 국가균형발전 측면에서 옥정과 포천을 연결하는 전철 연장사업이 필요하다”고 긍정적인 답을 내놨다. 

박 시장은 이어 11월28일 문희상 국회의장을 만나 전철 7호선(옥정~포천) 연장사업의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2018~2022) 반영을 통한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적극적으로 건의했다. 결전의 날인 16일 포천시민 1만3천여 명이 서울 광화문광장에 모여 전철 7호선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촉구 결의대회를 열었다. 또 1천여 명이 삭발식에 참여해 전철 7호선 연장에 대해 절박하고 결연한 의지를 표명했다. 박 시장은 예타면제 사업이 발표되기 전인 1월25일 마지막으로 국회를 방문, 김현미 국토교통부장관과 정성호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을 면담하고 오랜 숙원사업인 전철 7호선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전철 7호선(옥정~포천) 연장 사업 확정으로 서울 강남 1시간대

이런 과정을 거쳐 결정된 도봉산 포천선 7호선 전철 연장은 서울 도봉산에서 의정부, 양주를 거쳐 포천까지 이어지는 사업으로, 옥정~포천 구간은 총 연장 19.3km에 사업비 1조 391억 원이 들어가는 사업이다. 

전철 7호선(옥정~포천) 연장 사업이 건설되면 대중교통을 통한 서울 강남까지의 접근시간이 2시간 30분에서 1시간으로 획기적으로 단축되고 노선 주변 옥정지구, 송우지구 등 기존 택지지구의 교통여건 향상과 포천 지역에는 역세권과 연계한 신도시 건설이 가능해진다. 또 대진대, 경복대, 차의과학대 등 3개의 대학교와 용정산업단지 등 8개 산업단지의 근로자를 포함해 23만여 명이 철도서비스를 이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글_김두현기자  사진_경기일보 DB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