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통시장] 시흥 삼미시장

신천역 연결 접근성 좋고 쾌적한 환경 완비
활기찬 먹거리촌엔 개성만점 맛집 가득

시흥 신천동에 위치한 삼미시장은 1987년에 조성된 재래시장이다. 현재는 하루 7천 명이 찾을 정도로 지역에서 자리매김한 곳이지만 30년간 어려움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주변에 대형마트와 편의점이 하나 둘 생기고, 1인 가구가 생겨나다 보니 젊은 층을 포함한 손님들이 자연스레 줄어들기 시작했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상인들에게 갔고 상권이 침체됐었다.

이에 2000년 초반부터 삼미시장은 위기를 기회로 바꾸듯 전통시장 살리기 위한 각종 정부, 경기도 사업을 유치하기 시작했다. 시장 환경 개선사업을 통해 대형 돔 아케이드 설치, 건물 도색, 대형 TV 설치하고 대형마트 못지않은 깔끔하고 쾌적한 환경을 구축했다. 이 같은 노력으로 2006년에는 삼미시장이 재래시장으로 정식 등록되는 기쁨을 누렸다.  

지금은 지역민들에게 사랑받는 상시 시장으로, 평일 오전·오후 시간대를 가리지않고 북적북적하다. 삼미시장 길 양쪽으로 즐비한 상점들은 먹을거리, 비닐하우스에서 갓 수확한 싱싱한 채소 등 여러 품목으로 손님을 맞이한다. 가격을 깎아 달라고 흥정하는 손님들과, 학생 손님들에게는 덤을 얹어주는 상인들 등 시장에는 웃음소리가 흘러 넘쳤다. 교복을 입은 중·고등학생부터 유모차를 끌고 온 20~30대 젊은 엄마들까지 다양한 이들이 시장에 활기를 불어 넣고 있었다.

총 180여 개의 점포와 노점으로 구성된 삼미시장은 주거밀집 지역에 위치해 있고 신천역과도 직접 연결돼 있어 접근성이 뛰어난 재래시장 중 하나다. 

재래시장으로 정식 등록되면서부터 상인회는 정부와 경기도, 시흥시 등과 함께 여러 사업을 진행하면서 시장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다. 이 일환으로 삼미시장은 개성과 특성을 살린 특화거리(먹거리촌)를 조성했다. 특화거리는 떡, 족발, 반찬 등 음식 개성 별로 컨셉을 나눠 디자인 친화적인 먹거리 공간으로 손님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올해는 삼미시장이 경기도형 혁신시장 육성 공모 사업에 선정돼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경기도형 혁신시장 육성사업은 특화요소 발굴, 개발 등 특성화를 통한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 혁신적인 개선 등을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를 목적으로 둔다. 총 사업비는 4억7천만 원으로 경기도와 시흥시가 5:5로 부담한다.

삼미시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조합 구간을 정비하고 서비스 개선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 현재 포장마차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좌판 구간을 정비해 깔끔한 먹거리 촌으로 조성하고 삼미시장 스토리텔링을 녹아들게 한 디자인을 담은 벽화 등을 설치해 고객들의 볼거리, 즐길 거리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내년께 이 사업이 종료되면 좀 더 차별화된 삼미시장을 만날 수 있다.

이밖에 삼미시장은 백화점이나 대형쇼핑몰로 유입되는 손님들의 발걸음을 시장으로 돌리기 위해 인근 신천천, 신천문화의 거리 등을 활용해 자연친화적인 행사 및 공연을 열고 있다.

 

글_홍완식기자 사진_경기일보 DB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