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승남 구리시장, 문화 행복도시 정책] “모두가 누릴 수 있는 구리문화재단 설립… 공정한 문화복지 시대 열 것”

구리시가 구리문화재단 설립을 통해 시민 일상에 스며든 문화예술을 모체로 올해의 화두인 ‘구리 행복도시’를 꿈꾸고 있다. 이는 초등학교를 시작으로 대학생, 사회 생활에 이르기까지 문화예술 향유에 남다른 애정을 보여왔던 안승남 시장의 대중과 함께 하는 공정문화 실현의 발현이기도 하다. 특히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 계층간 문화격차를 좁혀 모두가 향유할 수 있는 공감하는 문화복지 시대를 열어가고자 하는 그만의 열정, 과거 대중 가수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김광석과의 인연과 동지애 등 3박자는 공정 문화예술을 구리문화재단을 통해 꽃피울 수 있는 밑거름으로 충분해 보인다. ‘문화는 우리의 삶이다’, 이는 안승남 시장의 특별한 신념이다. 구리문화재단 설립에 즈음, 향후 행보가 사뭇 기대되는 이유다.  

- 구리문화재단을 설립하게 된 취지는.

문화는 도시 발전의 핵심요소다. 문화가 일상생활에 스며들 때 밝은 미래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구리문화재단 전신인 구리아트홀이 지난 2013년 5월24일에 개관했다. 7년의 짧은 기간 동안 ‘문화로 가꾸는 행복도시 구리시’라는 목표를 가지고 성장해 왔다. 

이제 구리아트홀은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더 큰 도약을 위해 준비중이다. 이를 위해서는 더 많은 변화를 준비해야 한다. 경기도의원 재임 당시부터 줄곧 구리시가 구리아트홀, 시립도서관을 운영함에 있어 문화정책 수립부터 집행까지 지속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독립적인 문화행정 전문기관의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이를 구체화 한 것이 지난 민선7기 선거 당시, ‘시민과 함께 만드는 안승남 공약집’에 담겨 있는 약속, 그것이 구리문화재단을 설립하게 된 취지다. 

- 그동안 구리아트홀은 시 직영 체제로 운영됐다. 문화재단은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

우선, 당연직 이사장으로서 민선7기 문화 분야 미래비전 성과를 위한 단계별 추진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가장 먼저 직영체제의 한계였던 문화예술분야 공모사업과 국고보조금 확보 등 외부재원 조성에 주력, 늘 부족한 예산의 고충을 해결해 나갈 생각이다. 

또 조직적으로는 임기제공무원 등 비정규직을 정규직화, 안정적인 일자리를 구축토록 하겠다. 투명한 윤리경영을 책임있게 운영하면서 장애인을 비롯 아이부터 어르신까지 누구나 편리하게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는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미흡한 관행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 

- 구리문화재단 설립에 따른 성과나 기대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이었던 김구 선생은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라고 했다. 그는 민족의 미래를 문화국가에 뒀다. 김구 선생의 말씀처럼 구리시와 구리시민은 구리라는 이름으로 새겨진 문화재단을 갖고 싶었다. 개인적으로도 시민운동과 경기도의원, 시장을 거치면서 구리시의 번영의 힘을 문화에서 찾으려 했다. 비로소 그 결실을 앞두고 있으니 가슴이 벅차 오른다. 

- 문화예술에 남다른 열정과 애정이 엿보인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가.

학창시절인 서울 한양초등학교 때 노래 콩쿨 경연에서 입상한 경험이 있다. 한영중학교 당시에는 종교부장으로 중학교 축제인 ‘한영인의 향연’을 주도했다. 대광고등학교 재학 때는 합창반 일원으로 음악제에 참가하며 문화예술 운동에 관심을 갖게 됐다. 

이 당시 2년 선배인 가수 김광석을 만났다. 암울했던 80년대, 한국외국어대학교 노래패 모임인 ‘해무리’에서 당시 시대상황을 대중속으로 민주주의 의미를 전파하는 활동을 했다. 또 경기도의회 도의원으로 재임할 당시 코람데오 합창단이 창단됐는데 이때 합창단원으로 활동하며 어렵고 소외된 이웃에게 찬양과 음악을 전달하는 힐링메신저 역할을 담당했다. 이러한 경험으로 인해 문화예술에도 공정이라는 신념을 갖게 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 지역 문화 예술인에게 하고 싶은 말은.

문화재단이 중심이 돼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차별화된 미래형 문화산업단지를 만들고 싶다. 여기에는 지역의 문화예술인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문화의 중심은 사람이며, 문화의 향은 사람이 낼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향내라 하지 않는가. 모든 장르의 문화예술인이 더 나은 향내를 피우고 화합과 공감속에서 소통하고 상생해야 한다. 이같은 대열에 지역 문화예술인과 시민 여러분의 따스한 눈길과 애정 어린 발길을 부탁드린다. 

글_김동수기자 사진_구리시 제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