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흥 자체 조사보다 많아... 합조단 감사·수사방향에 촉각
정부합동조사단이 발표한 3기 신도시 투기 의혹 2차 조사 결과에 광명시 등 지자체 공무원과 지방공사 직원이 대거 포함되면서 공직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가장 많은 인원이 투기 의심자로 분류된 광명시의 경우 자체 조사 결과보다 많은 인원이 의심자로 분류되면서 정부 부처에 확인 작업을 벌이는 등 당혹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시는 현재 자체 조사에서 드러난 6명 외에는 따로 파악된 것이 없다는 입장으로, 정부 조사 결과가 어떤 근거에서 나온 것인지 정부 자료를 비교 분석해 진위를 파악 중이다. 시 관계자는 “토지거래를 한 공무원의 신원과 어느 곳의 토지를 매입했는지 등을 자체적으로 파악 중”이라며 “정부 발표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인한 뒤 대응해 나갈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부천도시공사 역시 직원 2명이 투기 의심자로 분류돼 초긴장상태다.
특히 합조단이 합동 특별수사본부에 수사를 의뢰할 정도의 토지 거래라는 점에서 향후 진행될 감사나 수사방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공사 관계자는 “공사 직원 2명이 포함됐다는 합조단 발표에 긴장하고 있다. 아직 명단이 통보되지 않아 누구인지는 모르는 상태”라면서 “사실로 드러날 경우 도시공사의 대외신뢰도에 적지않은 타격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안산시와 시흥시 역시 각각 4명과 3명이 투기 의심자로 분류돼 어수선한 분위기다.
시흥시는 자체 조사 결과 1명이 투기 의심자로 나타났으나 정부 조사 결과 3명이 의심자로 분류됐다.
현재 수사 의뢰 대상 3명을 파악 중이며 자체 조사한 광명ㆍ시흥 3기 신도시 외 지역에 대한 투기사례를 파악 중이다.
안산시는 합조단 조사와 별개로 이달 초부터 장상 및 신길2지구에 대한 공직자 토지거래를 조사하고 있다. 이달 말 결과가 나오는 대로 이를 시민들에게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는 자체 조사와 함께 ‘부동산 공익제보 핫라인’도 운영하며 관련 제보를 받고 있다.
시 관계자는 “공직자의 투기혐의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엄정 조치, 공직자 부동산 투기 근절의 단초로 삼겠다”고 말했다.
지방종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