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기 의혹’ 공무원ㆍ공기업직원 28명 추가…경기도 공직사회 ‘긴장’

3기 신도시 인접지역에서 토지거래를 한 공무원과 공기업 직원 28명이 정부합동조사단에 추가 적발됐다.

이번 땅 투기 의혹과 관련해 정부와 여당이 모든 공직자의 재산등록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경기도를 비롯한 공직사회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21일 정부합동조사단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 개발업무 담당공무원 및 지방 공기업 직원 8천780명 중 개인정보 동의서를 제출한 8천65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28명이 3기 신도시 지구 및 인접 지역 내 토지 거래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2차 조사결과에서 적발된 지자체 공무원은 23명, 지방공기업 직원은 5명이다.

정부합동조사단은 “28명 중 23명은 투기가 의심돼 수사 의뢰를 하기로 했다”며 “나머지 5명은 가족 간 증여로 추정되는 거래로, 향후 수사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 합동 특별수사본부에 이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사 의뢰 대상이 된 23명은 광명시 소속 10명, 안산시 4명, 시흥시 3명, 하남시 1명, 부천도시공사 2명, 경기주택도시공사 1명, 과천도시공사 1명, 안산도시공사 1명이다.

이들은 총 32필지의 토지를 소유했으며, 이 중 농지가 19필지로 가장 많고, 임야 2필지, 기타 대지 및 잡종지가 11필지 등이다.

땅 매입 시기는 32필지 가운데 18필지가 최근 2년 사이에 집중됐으며, 이들 중 1명은 4필지를 소유하고 6명은 2필지를 소유하는 등 여러 곳의 땅을 매입한 사례도 있었다.

토지거래 외에도 고양 창릉ㆍ광명 시흥ㆍ안산ㆍ하남 등에서 아파트 등 주택거래를 한 사람은 237명으로 확인됐다.

조사단은 이번 조사대상 가운데 개인정보를 제출하지 않은 127명의 명단을 특별수사본부에 통보할 예정이다.

정부합동조사단의 2차 조사결과 발표에 시흥ㆍ광명ㆍ안산 등 경기지역 지자체들은 당혹스러워하는 모습이다.

광명시와 시흥시는 앞선 자체 조사결과 발표보다 관련 공직자가 많아지자 긴장감 속에 내용 파악에 나섰다.

각 지자체는 정부의 조사, 경찰의 수사 과정에서 위법성이 드러나는 공직자에 대해 강력히 처벌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모든 공직자의 재산등록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공직사회에 비상이 걸렸다.

재산 등록이나 공개를 하면 해마다 늘고 주는 재산에 대해 소명을 해야 하는 만큼 심리적 압박을 받게 되고 본인이나 배우자, 직계존비속의 재산 관리에 신경을 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편 이번 땅 투기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은 지난 19일부터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에 대한 소환조사에 들어갔다. 참여연대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이 이번 비리 의혹을 제기한 지 17일 만이다.

홍완식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