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로컬푸드 사태와 관련 양주시의회 행정사무조사특위는 사태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경영진의 부도덕성과 책임성 결여 등 4개 원인으로 결론지었다. 또 향후 대책으로 농협, 농업인단체, 양주시가 공동출자해 경영하는 준공영 방식으로 정상화 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특위는 25일 제6차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최종 결과보고서를 채택하고 활동을 종료했다.
특위는 결과보고서에서 이번 사태 주요 원인으로 첫째 경영진의 책임경영 능력과 지질 부족, 무리한 사업 확장, 사업의 투명성 상실을 들었다.
두 번째로는 2호점에 대한 타당성 검증 실패, 보조사업 관리감독 소홀, 컨트롤타워 역할 부재 등 농업기술센터의 행정관련 규정 무시와 방관적 태도를 지적했다.
또 로컬푸드에 대한 불신, 농산물대금 미지급, 농가참여 저조 등 농업인과 소비자에 대한 신뢰성 상실을 꼽았다. 마지막으론 일부 토호세력에 의한 로컬푸드 운영과 사유화를 들었다.
특위는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에 대해 ㈜로컬양주와 ㈜양주팜로컬에 전적인 책임이 있지만 2019년 7월부터 1호점의 경영악화에도 불구 무리하게 2호점을 확장한 점, 양주시의 방관적인 태도 때문이라고 결론짓고 시장은 직매장의 실패를 인정하고 특단의 대책을 내놓을 것을 요구했다.
이희창 특위 위원장은 “이번 사태와 관련 시의원 연류설 등을 송구하게 생각하고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뼈를 깎는 자성의 기회로 삼아 재발되지 않도록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특별위원회와 윤리심사자문위원회를 설치,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양주=이종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