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030세대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지난 4ㆍ7 재보선에서는 2030세대의 성난 민심이 오랜만에 야당에 승리를 안겨주었고, 여세를 몰아 국민의힘에서는 30대 당 대표가 탄생했다. 이에 놀란 여당은 정부에 대해 ‘청년특임장관’ 신설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2030세대는 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Z세대’를 아울러서 MZ세대로도 불린다. 이들은 휴대폰이나 인터넷 등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며 변화를 즐긴다. 그렇다면 디지털 강국 대한민국에서 시대의 트렌드에 잘 적응한 2030세대가 왜 이토록 분노하는 것일까?
이들의 분노에 관통하는 키워드는 ‘공정’이다. 동세대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교육이나 취업 등에 있어서 공정한 룰이 적용되는가에 민감하다. 남녀 간의 젠더 이슈에 있어서도 공정한 기회가 보장되기를 원한다. 세대 간 문제에 있어서도 기성세대의 일방적인 독주에 반기를 든다. 복지를 강화하기 위해 대량의 국채를 발행하거나, 코로나 백신을 북한에 제공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이의를 제기한다.
그렇다면 우리의 미래세대가 제기하는 이러한 문제에 기성세대는 어떻게 화답해야 할까? 우선은 세대 간 충분한 대화가 필요하다. 5060세대 입장에서 자식세대에 해당하는 2030세대의 생각에 보다 깊은 관심이 요구된다. 가정이나 직장에서 미래세대가 겪는 좌절과 느끼는 문제에 대해 진솔한 대화가 이뤄져야 한다.
훈계하는 식의 대화로는 곤란하다. 얼마 전 비트코인 가격이 폭락했을 때 금융위원장이 젊은 세대의 가상화폐 투자를 ‘잘못된 길’이라고 비판했는데 이런 식으로는 안 된다. 왜 젊은이들이 고위험 자산 투자에 몰렸는지에 대해 흉금을 터놓고 이야기해야 한다.
이렇게 대화가 이뤄진다면 그 다음으로는 대책을 내놓아야 하는데 이는 기성세대의 몫이다. 또한 정치권과 정부의 몫이기도 하다. 어떻게 보면 오늘날 2030세대가 느끼는 불공정 문제는 그동안 우리 사회에 내재돼 있던 구조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지나친 사교육 의존과 교육 격차, ‘엄마 찬스, 아빠 찬스’를 교육과 취업에 이용하는 잘못된 관행, 양질의 청년 일자리 부족, 재정적자의 급증에 따른 미래세대의 과도한 세금부담 등의 문제들이 오늘날의 2030세대를 압박하고 있다. 교육과 노동, 재정, 경제 등에 걸친 철저한 구조개혁만이 해법이다. 요즘 우리 사회에서 좀처럼 듣기 어려워졌지만, 사회 전반에 걸친 구조개혁이 필요하다.
정승연 인하대 경영대학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