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운동 탄압한 만수동 대공분실, 민주화 건축자산 보전 검토 대상 올라

인천지역 노동·민주화운동 탄압의 대표적인 장소인 남동구의 ‘만수동 대공분실’(경기일보 14일자 1·7면)이 인천시의 건축자산 및 문화재 해당 여부 심사 대상에 올랐다.

24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인천민주화운동센터는 최근 지역 내 민주화운동의 의미가 있는 공간을 발굴하는 민주화 건축자산조사를 했다. 그 결과 인천에서는 모두 112곳이 건축자산 및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있는지를 검토하는 심사를 받는다.

이중 만수동 대공분실은 민주화 운동 당시 수많은 민주화·노동운동가를 탄압해온 ‘탄압기구’로 분류, 이름을 올린 상태다.

시는 지역 내 도시개발 과정에서 민주화 건축자산에 대한 이해충돌이 생기면서 민주·인권도시로의 정체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보고 지난해 말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112곳의 심사 대상에 대해 등록문화재나 건축자산으로 보전하는 요건에 충족하는지 여부에 대한 심사를 마친 뒤 요건에 충족한 곳들은 담당 부서에서 지속해서 관리하기로 했다. 또 요건에 충족하지 않더라도 각 공간의 의미와 역할 등을 시민과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 인천민주화운동센터와 협력해 민주화운동기념사업과 연계한 데이터베이스(DB)를 관리할 방침이다.

한편, 만수동 대공분실은 1986년 12월29일 경기도경찰국 사찰과 분실로 문을 연 뒤 인천경찰국 대공분실로 수많은 민주화·노동운동가를 핍박해온 공간이다.

김경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