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경기일보 보도, 그 후] 경기도, 물고기 떼죽음 서호천 민관 합동 감시 체계 구축

경기도광역환경관리사업소 점검반과 지역 주민 등으로 구성된 환경점검단이 21일 오후 수원특례시 서호천변에서 폐수 불법 배출행위 방지를 위해 수질 및 생태환경을 점검하고 있다. 윤원규기자

수원특례시의 조사에도 서호천 물고기 떼죽음 사건의 뚜렷한 원인이 드러나지 않은 가운데 경기도가 민간과 함께 이곳의 수질 점검에 나선다.

경기도 광역환경관리사업소는 21일 주민 20여명이 참여하는 서호천 하천 폐수 불법 배출행위 예방을 위한 ‘민관 합동 환경점검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민간은 민간대로, 행정기관은 행정기관대로 따로 운영됐던 점검 체계를 일원화해 이곳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는 복안이다.

특히 서호천 인근에는 A업체 등 2종 사업장(하루 폐수 방출량 700톤 이상)이 있는 데다 도가 수시로 이 하천을 관리할 수 없는 만큼 서호천에 관심이 많은 주민이 매일 하천 오염의 징후를 관찰하는 체계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더욱이 지난달 25일 잉어 등 총 250여마리 물고기가 죽은 채 발견된 이 하천의 수질에서 화학물질 아젤라산 등이 검출(경기일보 18일자 6면)되는 등 불법 폐수 유입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A업체는 오는 4월까지 폐수처리시설 개선 공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이와 관련한 모니터링을 할 수 없게 되면서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한 실정이다.

도 관계자는 “최근 서호천에서 물고기 집단 폐사 사건이 있는 데다 주민 민원도 많았기에 민관 합동 점검단을 구성했다”며 “이러한 활동을 통한 지역 환경 네트워크 강화는 하천 환경을 안전하게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수원특례시는 강원대 어류연구센터에 의뢰, 해당 사건의 원인을 조사했으나 점액질 발생에 따른 아가미 손상 등 생물학적인 원인만 밝혀냈을 뿐 근본적인 이유는 찾지 못했다.

이정민기자

관련기사

서호천 물고기 떼죽음 원인 오리무중…“조사 체계 다변화해야”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