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보도, 그 후] 경기도, 중증장애인 자아 실현 일자리 제공 폭 넓혔다

중증장애인 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음에도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일자리 사업의 규모가 작다는 지적(경기일보 2021년 9월10일자 5면)을 받았던 경기도가 채용 인원을 확충하는 등 개선에 나섰다.

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사업’ 규모를 확대하고 이번 달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공모를 통해 선정된 민간수행기관이 문화예술 등 여러 분야의 중증장애인(장애인)을 더 많이 뽑을 수 있는 구조를 만든 것이다.

도는 인건비 형태의 예산을 지난해 2억5천만원에서 올해 총 22억원으로 늘렸다. 이를 통해 민간수행기관을 5곳에서 10곳으로 확대했다. 이에 따라 채용 인원도 25명에서 총 200명으로 늘어났다. 기관도 늘린 데다 기관별 채용 인원을 5명에서 20명으로 확충한 것으로, 이곳에 채용된 장애인은 최저 시급 규정에 따라 한 달 최대 70만원 내외를 받는다.

지난해 처음 추진된 이 사업은 당초 행정기관 근무 등에 한정된 기존의 일자리와는 다르게 ▲문화예술 ▲장애인 인식개선 ▲장애인 권익옹호 등 다양한 분야의 일자리를 장애인들에게 제공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단순 업무에서 벗어난 장애인들이 자립심 등을 키우게 하겠다는 취지다.

이처럼 채용의 폭이 확대되자 장애인들은 환영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장애인 김경현씨(34·가명)는 “사무 보조와 같은 업무보다는 강의 등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일자리가 필요했다”며 “앞으로 더 폭넓은 일자리가 생겨 장애인들이 설 자리가 많아졌으면 한다”고 밝혔다.

도 관계자는 “지난 1·2월 민간수행기관 선정 과정을 거쳐 이번 달부터 해당 기관에서 장애인을 채용하는 등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며 “이 외의 공공 일자리 사업을 계속 추진해 장애인의 자립을 도와주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전국에서 장애인(19만9천635명)이 제일 많은 곳임에도 같은 사업을 진행하던 서울시(장애인 14만8천568명)보다 사업 규모가 작다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지난해 서울시의 채용 규모는 경기도보다 10배 이상 많은 총 275명이었다.

이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