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주야간보호시설에 대한 방역조치에 허점(경기일보 2월23일자 6면)을 드러냈다는 지적에 보건복지부가 시설 이용자를 위한 신속항원검사키트를 지급하며 대응에 나섰다.
6일 보건복지부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복지부는 지난달 24일 노인 등 사회복지시설 이용자에 대해 신속항원검사키트를 지급한다는 방침의 공문을 경기도 등 관련기관에 전달했다.
이후 경기도는 지난달 25일 해당 사업확정에 대한 공문을 도내 시‧군에 전달하고, 신속항원검사키트를 주야간보호시설 등에 순차적으로 배분하기 시작했다.
앞서 코로나19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지난달 11일 ‘오미크론 대응에 따른 장기요양기관 방역강화’ 조치를 통해 장기요양기관 종사자들에게만 주 2회 PCR 검사, 주 2~3회 신속항원검사를 하도록 했다. 하지만 시설 이용자인 노인에 대해서는 입소 시 백신 미접종자에 한해 PCR 검사 1회 뿐이었다.
이런 가운데 노인들이 가족 간 확진 등을 통해 시설 내 추가 확진을 불러일으키는 사례가 발생하는데도 방역당국의 마땅한 대처가 없었던 상황이었다.
이후 복지부는 신속항원검사키트를 노인 사회복지시설에도 지급하기로 결정했으며, 이같은 지시를 받은 경기도는 시‧군에 사업 진행을 알렸다.
도는 현재 도내 요양원, 단기보호시설, 주야간보호시설 등에 지급할 3만5천173박스(1박스 당 25개)를 배정받아 총 87만9천325개의 신속항원검사키트를 확보한 상태다. 도는 각 시설에 노인 1인당 총 12개씩 전달하기로 했다. 도는 3회로 나눠 배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시군별로 유동적으로 횟수를 조정해 배분하기로 했다.이를 위해 경기도에 투입되는 예산은 288억원(국비 50%, 도비 15%, 시·군비 35%)이다.
이 같은 방침에 따라 수원시 A 주야간보호시설은 지난 4일 시설 이용자인 노인 60명에 대한 키트 255개를 구청으로부터 배분받았다. A 시설은 노인 1인당 4회분에 대한 이번 분량을 통해 일주일에 1회씩 검사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달 25일 안성시 B 시설은 노인 70명에 대한 3회분의 키트 210개를 배분받았다. 같은 날 평택시 C 시설 역시 74명의 노인에 대한 5회분의 키트 370개를 받고 자체적으로 검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총 3회 중 1회분에 대해 시‧군별로 배분이 됐고, 시설에 대한 현장 배송이 이뤄지고 있다”면서 “장기요양시설 노인들에 대한 방역에철저하게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