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가장 초박빙 접전을 펼쳤던 대통령 선거가 끝나고 지방 정치권은 오는 6월1일 치러질 전국동시지방선거 모드로 접어들었다. 정치권은 물론 국민들의 관심은 광역·기초단체장과 의원, 교육감을 뽑는 전국동시지방선거로 쏠리고 있다. 하지만 이례적으로 경기도 체육계는 경기도교육감 선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체육계가 전례없이 도교육감 선거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은 최근 경기체육의 기반인 학교체육이 뿌리째 흔들리면서 전문체육이 붕괴 직전에 놓였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지난 1981년 인천광역시와 분리 후 ‘1교 1운동부’ 정책을 통한 초·중·고교 연계육성, 전국 최초의 직장운동부 창단 등으로 1990년대서 부터 대한민국 체육을 이끌어 가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체육웅도’라는 수식어가 붙기도 했다. 지난 2018년까지 하계 전국체전에서 종합우승 17연패, 올해 전국동계체전에서는 19연패의 찬란한 금자탑을 쌓아올렸다. 전국체전 뿐만 아니라 아시안게임과 올림픽 등 각종 국제대회에서도 경기도 출신 선수들의 활약은 가장 두드러졌다. 그러나 최근 5~6년 동안 경기체육은 급격히 쇠락했다. 체육계는 그 원인에 대해 학교체육 정책의 변화를 꼽는다. 최저 학력제 강화와 운동부 합숙소 폐지, 주52시간제 도입에 따른 지도환경 위축 등이 경기체육의 근간을 송두리째 흔들어 놓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8월 경기도교육청의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도내 학교 운동부 가운데 205개 팀이 해체되고 신규 창단은 16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50개 안팎의 운동부가 사라지면서 1천명 가까운 학생선수들이 경기도를 떠났다. 경기도가 과거 학생선수들에게 가장 운동하고 싶은 지역으로 꼽혔으나 이제는 운동할 수 없는 지역이 돼 학생선수들을 타 지역으로 내몰고 있는 것이다.
물론 도교육청의 바뀐 정책이 모두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대다수 체육인들은 공부하는 운동선수에 대해 공감한다. 합숙소 등 집단생활을 하면서 빚어졌던 구타와 체벌 등 구태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도 인정한다. 학생선수에 대한 인권보호와 학습권 보장 역시 필요하다. 하지만 마치 운동부를 ‘악의 소굴’인 것 처럼 비약시키고 매도하는 것은 하지 말았어야 했다. 체육계도 많이 바뀌었다. 감시의 눈도 늘어났다. 신고할 수 있는 장치도 많아졌다. 무엇보다 체육인들의 자정 노력과 변화 모습도 눈에 띈다. 그럼에도 경기도교육청의 학교체육 정책은 생활체육에 기반을 둔 G스포츠클럽 운영 및 지원 확대를 제외하고는 달라진 것이 없다.
체육계에서는 교육감의 확고한 의지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체육도 교육의 한 부분이다. 체육을 통해 진로와 인생 방향을 목표로 삼은 수 많은 학생선수와 학무모들에게 교육감은 큰 장벽처럼 느껴지고 있다. 학교체육에서 빚어지는 문제점에 대해 제재만 가하기보다는 유연하고 탄력적인 정책을 통해 대안을 마련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차기 경기도 교육의 수장을 꿈꾸는 후보들은 체육계의 이같은 여론을 귀담아 합리적인 공약과 실천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황선학 문화체육부 부국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