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리종사자 배치기준 협의체, 일정 조율도 ‘삐걱’

2차 협의 연기 두고 ‘책임론’ 대립
학비노조 “일방적 통보” 주장에, 도교육청 “사전에 알렸다” 해명

학교 급식종사자. 연합뉴스

안전한 학교급식실 환경 조성을 위해 우여곡절 끝에 출범한 배치기준 협의체(경기일보 16일자 8면)가 협의 일정 조율에도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학비노조·여성노조 등으로 결성된 학비연대와 함께 ‘조리종사자 배치기준 논의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해 지난 10일 첫 회의를 개최했다. 이후 노사 양측은 ‘2주 이내에 1회’ 회의를 개최하도록 명시하고, 부득이한 경우엔 상황에 따라 일정을 조율하도록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날 진행돼야 할 2차 협의는 결국 연기됐는데, 이에 대한 책임을 두고 도교육청과 학비노조가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

학비노조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도교육청이 돌연 7월11일 이후로 협의 연기를 통보했다고 주장했다. 학비노조 관계자는 “1차 협의에서 도교육청은 어떠한 협의안도 제시하지 않는 불성실함을 보여줬고, 이날 진행하기로 했던 2차 협의도 납득이 안되는 이유를 들어 연기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도교육청은 내부 사정으로 23일은 이미 불가능해 노조 측 간사인 여성노동조합과 2차 협의 일정을 조율 중이었다는 입장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첫 회의를 열 때부터 이미 23일은 불가능하다고 수차례 말했었다”며 “그런데 학비노조에서 도교육청이 일방적으로 협의를 미룬 것처럼 발표해 황당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학비노조 측은 일정을 조율 중이라면 협의체에 참여하는 노조에 모두 알렸어야 했고, 이 사실을 전혀 알지 못했다고 반박했다. 최진선 학비노조 경기지부장은 “더이상 도교육청 실무진과는 말이 통하지 않기 때문에 임태희 신임 경기도교육감과 이주호 인수위원장에게 면담을 요청했다”며 “7월1일로 예정된 임태희 신임 경기도교육감의 출근 저지 투쟁을 비롯해 강력한 규탄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한편 이날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는 인천대 노동과학연구소 등이 연구한 ‘학교 급식실 노동자 작업조건 실태 및 육체적 작업부하 평가’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 51.4세인 학교 급식종사자의 육체적 작업능력은 41.5%로 비슷한 평균 연령대의 노동자보다 3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인천대 노동과학연구소는 현재 급식실에서 1.23배의 인력이 충원돼야 업무 강도를 평균 수준으로 맞출 수 있다고 권고했다.

김정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