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경기도 박물관·미술관 다시보기] 20. 안산 대부도 ‘유리섬미술관’

‘자연과 유리’ 테마전시장 들어서면 신비로운 ‘동화속 세상’ 착각
2층 시연장은 필수코스... 유리 제품 탄생과정 한눈에 ‘흥미진진’
와인병에 나만의 그림으로 시계 만들기 등 재미있는 ‘체험의 장'
‘빛의 사제’ ‘스테인드글라스의 왕’ 김인중 신부의 작업 공간 눈길

image
알록달록한 바닷속 모습 등 자연을 유리로 재현한 유리섬미술관 테마전시관 전경. 윤원규기자

‘반짝반짝’ 유리로 만든 세상... ‘형형색색’ 황홀경

대부도는 시화방조제로 연결되어 육지가 된 섬이지만, 여전히 섬의 낭만과 서정이 살아 있어 사람들이 즐겨 찾는다. 대부도에 터를 잡은 유리섬미술관은 이름처럼 유리 전문미술관이다. 미술관에 들어서면 1만3천평의 툭 트인 마당이 시원하게 들어온다. 미술관에서 만나는 유리 예술품들은 꽃을 사랑한 어린왕자처럼 어디선가 한번 쯤 보고 들었던 존재들이기에 정겹고 편안하다. 마당에 서 있는 나무들의 잎과 꽃도 유리로 만들어졌다. 다리를 하늘로 치켜들고 키스를 나누는 청춘 남녀 인형이 눈길을 끈다. 건물 모서리에 놓인 커다란 통에서 흘러내린 주황색의 페인트가 벽을 적시고 있다. 철로 만든 형이상학적 구조물도 상식과 통념을 부수기는 마찬가지다. 안에 들어가 밖을 내다보니 닫힘과 열림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흥미로운 구조물이다. 유리섬미술관의 연못엔 사계절 내내 연꽃이 피어 있다. 유리로 만든 시들지 않는 연꽃은 햇살을 받아 신비로운 빛깔로 변신하고 있다. 미술관 외벽을 장식하는 작품은 열다섯 개의 사람 입술이다. 노래를 부르는 듯 도톰한 입술을 살짝 벌리고 있다.

 

image
안산시 대부도에 위치한 유리섬은 유리의 역사와 제작기법에 대한 정보와 현대유리 조형물 등 유리예술품을 전시하고 있다. 대부도 유리섬 전경. 윤원규기자

유리섬미술관(관장 김동선)은 장식유리그릇 제조업의 중심지로 천년이 넘도록 명성을 유지하고 있는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섬 무라노를 꿈꾸며 미술관을 설계했다. 김동선 관장은 안산 대부도를 유리공예의 명소로 만들고 있는 작가이기도 하다.

테마전시장은 미로 속의 신세계처럼 흥미롭다. 정신을 집중하지 않으면 길을 잃기 십상이다. ‘자연과 유리’를 테마로 꾸며져 있는 테마전시장에서 맛보는 유리와의 만남이 특별하다. 채색 유리로 만들어진 동화의 세계는 꿈 많던 유년의 추억을 떠올리게 해 준다. 새가 날고 물고기가 헤엄치는 신비로운 숲속과 바다 속 풍경에서 유리 공예의 매력이 한껏 발휘된다. 아름다운 예술작품 앞에서 마비되고 무뎌진 감성이 깨어나는 것을 느끼는 짜릿한 시간이다.

기원전 3000년부터 시작되었다는 유리공예는 반만 년의 역사를 가진 예술이다. 우리나라 유리의 역사도 꽤 오래되었다. 기원전 5~6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유리구슬이 부여에서 발견됐다. 신라 금관총에서 나온 유리잔, 천마총에서 나온 유리그릇, 매우 독창적이라 평가 받는 금속과 조화를 이룬 사리병은 한국 유리문화의 역사를 알려주는 기중한 유물들이다. 유리는 일상에서 친숙한 물건이지만 어떻게 예술품으로 만들어지는지 지켜볼 기회를 갖기란 매우 어렵다. 특수한 시설과 까다로운 기술을 두루 갖추어야 하기 때문이다. 유리섬미술관은 유리가 예술작품으로 탄생하는 제작과정을 볼 수 있는 국내 최초의 미술관이다.

image
하루에 3번 유리 조형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공연 형식으로 시연하고 있다. 유리공예 시연장에서 관계자들이 시연하는 모습

 

■ 투명한 유리가 화려한 예술품으로 변신

유리섬미술관 2층에 유리가 제품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직접 볼 수 있는 널찍한 시연장이 있다. 1천200도 넘게 뜨겁게 달구어진 유리를 블로우 파이프(Blow pipe)를 이용하여 다양한 유리 조형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공연 형식으로 재현한다. 200명이 관람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극장식 유리공예 시연장이다. 유리 예술품이 탄생하는 과정을 작가의 몸짓과 숨결을 느끼면서 지켜보는 시간은 잊지 못할 추억이 될 것이다.

다양한 체험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도 유리섬미술관의 자랑이다. 2천500℃ 토치에 내열유리봉을 녹여서 나만의 액세서리를 만드는 램프워킹은 인기가 많다. 블로잉 체험은 1천200℃의 뜨거운 유리를 블로우 파이프(Blow pipe)에 말아 올려 입으로 불면서 컵, 미니화병, 크리스마스 볼, 램프를 만드는 흥미로운 체험이다. 두 가지 체험은 작가와 일대일로 이뤄진다. 글라스페인팅 체험은 유리컵에 유리전용 안료로 그림을 그린 후 오븐에 구워서 완성하는 체험이다. 컵을 오븐에서 10분 정도 굽고 30분 정도 서서히 식히면 완성된다. 샌딩 체험은 유리컵에 다양한 패턴의 스티커를 붙여 디자인 한 뒤, 고압으로 고운 모래를 뿌리면 유리컵의 표면이 깎이면서 스티커의 모양 그대로 컵에 문양을 새길 수 있다. 와인병과 시계 만들기 체험도 있다. 가마에서 녹여 납작해진 와인병에 나만의 디자인으로 그림을 그려서 시계를 만들어보거나 다양한 디자인의 색유리구슬을 자신의 생각대로 디자인하여 팔찌를 만들어 보는 체험도 재미있다.

image
교회에서는 이색 화가, 미술계에서는 이색 사제로 불려온 재불 화가 김인중 신부의 작업 모습. 

■ 빛의 예술가 김인중과 유리미술관

뜻밖의 행운이 찾아왔다. 유리미술관에서 김동선 관장의 소개로 스테인드글라스 작가 김인중 신부와 마주한 것이다. 1970년대부터 프랑스에서 활동한 김인중 작가는 1990년대에 세계적인 작가로 명성이 자자했다. 하지만 한국에는 얼마 전까지 김인중의 이름조차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최근 KBS에서 방영된 ‘천사의 시’는 김인중 신부를 조명한 다큐멘터리이다. ‘빛의 사제’ 또는 ‘스테인드글라스의 왕’이라는 애칭으로 불리고 있는 작가 김인중은 누구인가?

1940년 부여에서 태어난 김인중은 서울대 미대 재학 중에 국전에 특선하고, 제1회 민전(1965)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대학원을 마치고 스위스 프리부르 대학과 파리 가톨릭대학에서 수학한 김인중은 사제와 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1973년 파리 쟈크 마쏠 화랑에서 첫 개인전을 연 이후 유럽과 미국, 일본 등에서 꾸준히 전시회를 열었다. 세계적으로 저명한 미술사가 웬디 베케트는 김인중을 이렇게 소개하고 있다. “만일 천사들이 그림을 그린다면 그들의 예술은 틀림없이 김인중의 그림과 같을 것이다” 김 작가가 창안한 스테인드글라스 제조 공법은 우리 시대의 언어를 담기에 최적의 전혀 새로운 방식이다.

스위스 ‘르 마텡’지는 김인중을 ‘세계 10대 스테인드글라스 대표작가’로 선정하면서 “마르크 샤갈과 앙리 마티스를 뛰어넘었다”고 평가한다. “회화에서는 인상파 폴 세잔, 스테인드글라스에서는 야수파 앙리 마티스, 도자기에서는 입체파 파블로 피카소를 계승한다”고 평가했던 프랑스의 미술사학자 드니 꾸타뉴의 발언은 김인중의 예술적 성취와 유럽에서의 위상이 어떠한지를 잘 보여준다. 프랑스 브리우드 바실리카 성당에 김인중 작가의 스테인드글라스 37점을 설치하면서 별 1개의 도시에서 최고 평점인 별 3개의 매력적인 관광도시로 상향조정되었다. 대표적 고딕건축인 샤르트르 대성당과 로마네스크 양식 브리우드 성당에도 김 작가의 작품을 설치했다. 프랑스혁명 이후 전시회가 열리지 않던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1993년 처음으로 작품을 전시한 주인공이다. 이미 프랑스에는 김인중을 최고의 작가로 대접하고 있다. 앙베르 시립 김인중 전시관, 이수아르시에 김인중 상설전시관이 이를 웅변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로부터 문화예술 공훈 훈장인 오피시에 수상하고, 프랑스 가톨릭 아카데미 회원으로 추대되었다.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인 줄리앙 그린은 김인중의 작품을 “색과 선의 율동폭을 극대화한 동양화이자 서양화”라며 찬탄했다.

image
다양한 유리공예 작가들의 작품을 구매할 수 있는 아트샵 BODA. 윤원규기자

 

■ ‘김인중 스테인드글라스 미술관’ 설립의 꿈

김인중 작가가 최근에 귀국했다. 유리섬미술관 김동선 관장과 김인중 작가의 만남으로 한국의 스테인드글라스는 르네상스를 맞이한다. 김 관장은 김 작가의 예술혼을 불태울 수 있는 작업실을 제공하고 그의 예술 세계를 전시하고 보존하는 ‘김인중 스테인드글라스 미술관’ 건립을 위해 정성을 모으고 있다. ‘빛섬포럼’은 한류의 중심에 있는 김 작가를 사랑하며 미술관 건립을 추진하는 모임이다. 포럼 변주선 회장을 비롯해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 유안진 시인, 이해인 수녀, 김동호 강릉국제영화제이사장, 수원 교구장 이용훈 주교, 이장호 영화감독, 조계종 대종사 자광스님, 조선돈 목사, 김억중 빛섬미술관 관장 등 학계와 종교계, 예술계의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다. 여든을 넘겼으나 여전히 젊은 김인중 작가는 ‘김인중 홀’이 마련된 KAIST와 대부도 유리섬미술관을 오가며 예술혼을 불태우고 있다. 노작가가 들려주는 말씀이 영혼을 울린다. “예술이란 어둠에서 벗어나 빛으로 향해 가는 끝없는 과정입니다”

김영호(한국병학연구소)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