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고에도 도움 한 번 요청하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난 ‘수원 세 모녀 사건’을 계기로 수원특례시가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시는 ▲은둔형 위기가구 발굴시스템 구축 ▲전수조사 ▲대시민 홍보 등 세 가지 세부 대책을 주요 골자로 한 이러한 대책을 수립했다고 7일 밝혔다.
우선 시는 세 모녀와 같이 복지 사각지대 발굴 시스템에서 위기 정보를 입수했지만, 주민등록지와 실거주지가 다른 위기가구를 찾고자 은둔형 위기가구 자체 발굴 시스템을 구축한다.
징수과와 상수도사업소에서 지방세 장기체납자·단수(斷水)가구 자료를 추출한 후 생활실태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또 국민건강보험공단, 신용회복위원회, 삼천리도시가스 등 주민 일상생활과 밀접한 기관과의 업무협약으로 해당 기관들이 자신의 업무 영역에서 위기가구를 감지하면 즉각 시에 알리는 체계를 만든다. 이외에도 택배기사 등 생활업종 종사자를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하는 한편 카카오톡 상시 상담 채널을 운영해 주민들로부터 위기가구 제보를 받는다.
이러한 정보를 취득한 시는 위기가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해 복지자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시민들이 언제 닥칠지 모르는 위기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맞춤형 급여 안내(복지멤버십)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시민 자신이 받을 수 있는 복지사업을 미리 인지할 수 있는 서비스로 주민등록지와 상관없이 모든 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대부업체, 각종 세금 체납자, 주거취약가구 등을 대상으로 복지 사각지대 발굴·지원을 안내하는 홍보를 강화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수원 세 모녀와 같은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시민들도 주변에 어려움을 겪는 이웃을 발견하면 적극적으로 제보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