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영국이 한류를 대하는 방식과 ‘K-전시’

image
한민주 영국 유학생

해외에서 적지 않은 시간을 직접 체류하고 있는 한국인으로서 ‘이 세상은 지금 한류 열풍이다’라는 표현이 절대 과장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면서 이 글을 시작하고 싶다. 필자 또한 해외에서 직접 한류를 실감하고 이해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기 때문이다.

필자는 영국에 처음 유학을 시작한 2017년부터 당시 글로벌 슈퍼스타로 자리매김하고 있던 ‘BTS’의 인기와 한류의 영향력을 피부로 체감하기 시작했다. 특히 어린 학생들은 케이팝 아이돌의 춤을 추고, 한국어 노래 가사를 외우고, 가사를 몰라도 유행가처럼 모두가 방탄소년단의 당시 히트곡인 ‘DNA’를 알고 있었다.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진짜로 ‘글로벌 유행가’였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필자는 당시 언론에서만 듣던 ‘한류’가 진짜라는 것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타지에서 한국인이라는 이유 하나로 좋은 대우를 받은 경험이 있고, 그런 대우를 해주는 외국인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부담까지 느낄 정도였으니까 말이다.

음식은 또 얼마나 유행인지 모른다. 전통 한식은 물론 현대의 새로운 한국 음식도 많은 인기를 받고 있다. 최근 1년 사이 센트럴 런던에 새로 생긴 한국식 핫도그 전문점인 ‘BUNSIK 분식’ 이 그 예다. 한식은 채소를 기본으로 한 메뉴가 많기 때문에 심지어 채식주의자들에게도 인기가 많다.

드라마와 영화 산업은 언급하기 지겨울 정도로 오래전부터 화제성을 한국이 다 쓸어오는 중이다. 봉준호 감독이 2020년 외국어 영화 최초로 ‘오스카상’을 수상함으로써 화룡점정을 찍었으니 말이다. 믿기지 않는 문장이지만 한국 영화는 오스카의 역사도 새로 쓰게 됐다. 또 미술사를 공부하는 필자가 한류의 영향력을 크게 느낀 올해의 세계적 이벤트는 바로 세계 3대 아트페어인 프리즈(Frieze)가 서울에서 열린 것이었다.

이렇게 케이팝뿐만 아니라 한국의 예술, 음식, 미디어, 패션까지, 쉽게 말하면 한국의 모든 것이 지금 세계적으로 유행이다. 한국계 미국인으로 미국에서 자라 언론인, 작가로 활동하는 유니 홍은 자신의 저서인 ‘코리안 쿨’에서 한류를 ‘세계에서 가장 잘나가고 빠른 근대의 문화적 패러다임의 변화’라고 분석한다.

그리고 2022년, 영국은 한류의 정점을 찍고 있는 중이라는 생각이 든다. 영국의 문화 기관들이 그 어느 때보다 한국 문화에 관한 전시와 소개를 현재 런던에서 큰 행사로 열고 있기 때문이다.

첫 번째로, 영국의 대형 서점인 포일스에서 10 월 한 달을 ‘한국 문화의 달’로 지정해 한국어 도서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소개를 하는 행사를 펼쳤다. 필자는 미술사를 공부하기 때문에 런던의 많은 박물관과 미술관의 다양한 전시회를 다니는데, 그 과정에서 세계 최대 공예 박물관인 영국의 빅토리아앨버트 박물관이 지금 런던에서 가장 화제를 많이 모으는 전시 중 하나인 ‘Hallyu! The Korean Wave(한류! 코리안 웨이브)’를 지난 9월29일부터 열고 있다는 정보 또한 알 수 있었다.

이 전시에서는 일차원적으로 ‘한류’라는 문화 현상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6·25전쟁 이후로 돌무더기밖에 없던 시절부터 지금의 다른 풍경을 가진 한국의 근대 역사 발전 과정과 예술, 의복, 뷰티 산업, 심지어 한국의 웹툰 시장에 대한 내용까지 다뤘다.

실제로 이 전시는 첫날 입장권이 매진되는 등 큰 인기를 끌었다. 한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한류’라는 주제로 한국에 대한 전시를 하고, 한국 문화의 달을 만들어 행사하는 일을 처음 본 필자는 굉장히 깊은 인상을 받았고, 또 한 번 한류가 얼마나 글로벌한 현상인가 하는 점을 자신에게 상기시켜줄 수 있었다.

아는 사람 하나 없는 외국에 유학을 결심했던 큰 용기는 ‘우물 안 개구리’에서 벗어나, 존재하는지도 몰랐던 것들을 눈으로 보고 시야를 넓히고 싶다는 이유가 가장 컸었다. 그렇지만 요즘은 오히려 외국에서 자국의 문화가 얼마나 대단한가 깨달으며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젊은 세대들은 자국 문화와 역사를 겸손하게 과소평가하기보다는 현재 한류의 영향력을 받아들이고 창의성을 키워 지금보다 더 발전할 수 있는 한국 문화의 파도를 계속해서 만들어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요즘이다.

한민주 영국 유학생·미술사 전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