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 민원상담관, 시장 암행어사냐?”…권봉수 시의장 예산 삭감 배경 설명

시청 공직사회 내부에서 볼멘소리 높아
시의회 야당, 개선안 없을 시 통과 어려워

image
권봉수 구리시의회 의장이 16일 정례 기자 브리핑에서 민원상담관 예산 삭감 이유 등을 설명하고 있다. 구리시의회 제공

민선8기 구리시가 추진 중인 ‘민원상담관제도’가 구리시의회의 반대로 2차례 무산(경기일보 15일자 5면)된 가운데 내년에도 퇴직공무원 배제 등의 뚜렷한 개선책이 없을 경우 도입이 어려울 전망이다.

시청 내부에서 조차 ‘시장 암행어사? 또는 공무원 연금 수령자가 또다시 2년 임기로 상당량 활동비까지 받아간다?’는 볼멘소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구리시의회 권봉수 의장은 16일 정례 기자브리핑을 갖고 지난 318회 임시회 중 처리된 3차 추경안 삭감(민원상담관 활동수당) 내용에 대해 이같은 내용의 현안 설명에 이어 향후 입장을 밝혔다.

권 의장은 “예산 삭감은 의회의 사업비 편성 전에 미리 민원상담관을 위촉, 각 동에 파견하는 것은 예산권 침해에 따른 것”이라며 “(민원상담관이) 과장이나 국장 등을 역임한 퇴직한 간부 공무원들이라는 (좋지 않은) 현장 분위기도 만만치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현장에서는 시장의 암행어사를 파견하는 것인지?, 또 연금까지 받고 있는 분들이 자원봉사 차원이면 몰라도 실비까지 받아간다는 소리가 많았다”면서 “내년 예산이 통과되기까지는 상담관 인원 등 내용을 심도 있게 파악, 사전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야당 소속 한 의원은 더 솔직한 입장을 전했다.

A의원은 “두번째 삭감처리된 주된 이유는 담당부서가 첫번째 예산 삭감 후 시의회와 아무런 사전 설명이나 교감 없었고 사실상 숫자만 달리해 예산을 요구했기 때문”이라며 “의원들 사이 아예 사업을 폐지하자는 말도 있지만 민원상담이란 긍정 요인을 감안, 운영 개선을 전제로 재논의, 수용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의 개선안이 전제되지 않은 한 내년 본예산에 또 다시 사업비를 요구하더라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일부 의원들 사이에는 논란의 중심인 ‘퇴직공무원 배제안’이 대두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고 귀띔했다.

구리시는 시장 직속으로 2년 임기의 민원상담관 9명(5급 이상 구리시 퇴직공무원 및 경찰)을 지역 8개 행정복지센터에 근무하게 하면서 1명 당 활동수당 145여만원을 지급할 방침이었다.

구리=김동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