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아프가니스탄에서의 NGO 여성 활동 금지조치와 구호사업

image
최성호 월드비전 경기남부사업본부장

2009년 영국 BBC에서는 탈레반에 억압당하는 파키스탄 주민들의 이야기를 글로 써줄 현지인을 찾고 있었다. 당시 탈레반은 9·11테러로 아프가니스탄에서 축출된 후 이웃 나라인 파키스탄 북서부로 본거지를 옮겨 지역주민들을 억압하고 있던 시기였다. 탈레반의 위협에 누구 하나 글을 쓰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없었지만 11세의 어린 소녀 말라라 유사프자이는 용기 있게 나서 글을 쓰기 시작했다.

 

말라라는 BBC 블로그에 3개월 동안 ‘파키스탄 여학생의 일기’라는 글을 연재하며 열악한 여성의 인권 문제를 알렸으며, 이로 인해 중동지역 여성 인권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말라라는 2012년 탈레반의 총격으로 머리와 목에 관통상을 입었지만 기적적으로 목숨은 건진다. 말라라는 열다섯 살에 유엔 총회에 나서 전 세계 모든 어린이와 청소년이 배움의 권리를 누리게 해달라고 호소했고 이듬해 그녀는 최연소 노벨평화상을 받는다.

 

2021년 8월 미군 철수와 함께 아프가니스탄에는 탈레반이 20년 만에 재집권했다. 이슬람근본주의 집단인 탈레반이 재집권할 당시에는 여성의 권리를 존중하겠다고 약속했지만 탈레반 내 강경파들에 의해 여성의 교육 등 인권 문제는 점점 더 열악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현재 아프가니스탄 대부분의 중등학교는 여학생을 받지 않고 있으며 지난해 12월부터는 여성의 대학 교육까지도 금지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전역에서 여성 교육 금지령에 항의하는 시위가 일어났지만 탈레반은 이를 무력으로 진압하고 있다.

 

탈레반은 최근 이슬람 율법을 지키지 않는다는 명분으로 비정부기구(NGO)에서 여성이 활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 아프가니스탄에는 3천명이 넘는 여성이 NGO에서 활동하며 인도주의적 구호활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 도움이 필요한 여성과 아동들에게 효과적으로 다가가는 데 있어 여성 직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기에 이번 조치로 인해 구호사업 진행에 상당한 차질이 예상된다.

 

월드비전은 탈레반 정권의 여성 NGO 활동 금지 결정에 안타까움을 표하며 이러한 결정을 즉각 철회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아순타 찰스 아프가니스탄 월드비전 회장은 성명을 통해 인구의 절반 이상이 구호단체의 인도적 지원에 의존해 생활하고 있는 상황에서 NGO 여성 활동 금지 결정으로 인해 수많은 주민들은 더욱더 고통스러운 상황에 직면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탈레반 정부를 향해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찰스 회장은 여성으로서 본인도 탈레반의 NGO 여성 활동 금지 조치에 해당되는 당사자이기도 하다.

 

탈레반 정부의 여성 NGO 활동 금지 조치에 따라 월드비전, 세이브더칠드런 등 여러 구호단체에서 진행하고 있는 인도적 지원 사업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고 있다. 이슬람 율법을 지킨다는 명목으로 진행된 탈레반의 반인권적 금지 조치는 도움이 필요한 수많은 아프가니스탄 국민의 생존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국제사회의 보다 강경한 대응을 통해 거꾸로 가고 있는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여성 인권시계를 바로잡아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