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고읍지구, 방치된 특목고 부지... '첨단 특성화고' 유치해야

양주시의회 주최 양주시 특성화고 설립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주장
윤동식 미래교육양주포럼 대표 “취업과 대학 진학에 도움되는 학교 유치해야”

image
양주시의회는 지난 20일 양주2동 행정복지센터 대강당에서 양주시 특성화고 설립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재최했다. 양주시의회 제공 

 

양주시 고읍지구에 방치되고 있는 특목고 부지 활용방안으로 양주시가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테크노밸리 개발과 연계한 인공지능·소프트웨어 특성화고를 유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래교육양주포럼 윤동식 대표는 지난 20일 오후 3시 양주2동 행정복지센터 대강당에서 양주시의회 주최로 열린 양주시 특성화고 설립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윤동식 대표는 ‘양주시 특목고 부지에 어떤 학교를 유치할 것인가’란 주제의 토론을 통해 양주시가 경기북부 테크노밸리 개발을 통해 첨단산업도시로 발전시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와 연계한 인공지능·소프트웨어 고등학교 유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대표는 특성화고는 양주시 발전방향에 도움이 되고 미래지향적 교육과 함께 취업과 대학 진학에 도움이 되는 학교를 유치하는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image
토론회 좌장을 맡은 정현호 의원이 토론회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양주시의회 제공

 

이어 정현호 시의원을 좌장으로 이어진 지정토론에서 이지연 시의원은 ‘양주시 유일의 특목고 부지 어떤 학교를 유치할 것인가’란 주제 발표를 통해 양주지역 중3 졸업생들의 고교 진학현황과 경기 남북부 특성화고 설립 현황을 제시, 도시 규모와 관계없이 교육의 선택권을 동일해야 한다며 양주의 미래를 위한 특성화고 설립을 주장했다.

 

양주지역은 현재 덕정고 등 일반계 6개교, 한국외식과학고 등 특성화고 1개, 양주고 등 자율고 1개 등 고등학교가 8개교가 있다.

 

image
지정토론자로 나선 이지연 시의원이 특성화고 설립 방향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양주시의회 제공

 

이 의원은 올해 양주지역 중학생들의 고등학교 진학형태를 볼 때 중3 졸업생 2천376명 중 일반고 2천5명(84.4%), 특목고 47명(2%), 특성화고 321명(13.5%), 자율고 4명(0.1%) 등이었다며 경기도내 특성화고 분포를 보더라도 경기남부가 84개교(76%)로 경기북부 26개교(24%) 보다 많아 교육의 선택권을 확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호태연 양주시 교육정책팀장은 “양주시에 특성화고가 1곳밖에 없어 지난해 관내 250여명의 학생이 관외로 진학했다”며 “특성화고를 희망하는 관내 학생들을 위해 유망분야 특성화고가 설립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좌장인 정현호 시의원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토론회를 통해 특성화고의 장단점과 양주시의 중장기 교육정책을 살펴볼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됐다”고 평가하고 “우수한 학생들이 지역 일꾼이 돼 지역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잇도록 특성하고 설립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시의회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