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은 나라의 특성에 따라 고유의 국화(國花)를 설정하고 있다. 미국과 영국은 장미를, 캐나다는 단풍나무를, 호주는 아카시아를, 러시아는 해바라기를, 네덜란드는 튤립을, 중국은 모란과 매화를 나라 꽃으로 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화는 무궁화꽃이라는 것은 어린아이도 다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다른 꽃보다 나라 꽃인 무궁화에 대해 무관심한 것도 사실이다.
무궁화의 의미는 ‘영원히 피고 지지 않는 꽃’이다. 한자로 ‘無窮花’는 ‘쉴 새 없이 피고 지고 또 피어나는 꽃’이라는 뜻이다. 무궁하게 꽃을 피운다 해 무궁화란 이름을 얻게 됐다고 한다. 무궁화는 흔하게 볼 수 있는 꽃으로 생명력도 강하다. 한 나무에서 여러 꽃송이를 피우는데 7월 초부터 시작해 10월 중순까지 하루에 20~30송이의 꽃을 피운다. 한 그루에 적어도 2천송이의 꽃이 핀다고 하니 놀랍다. 무궁화 꽃은 아침에 피고 저녁에 지는데 무려 100일 동안이나 피었다가 지는 꽃나무다.
무궁화 하면 마음 한편이 아련해지는 꽃이다. 우리 민족의 애환이 서려 있기 때문이다. 무궁화의 영문명은 ‘Rose of Sharon’인데 샤론의 장미라는 뜻이다. 샤론이라면 성경에 나오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지역의 척박한 땅을 의미한다.
무궁화는 오랫동안 피고 지기를 반복하는데 우리나라의 상징인 국화가 됐다. 단군조선 이래 반만년 동안 수많은 외세의 침략에도 굴복하지 않고 다시 피어나기를 반복한 무궁화의 끈질긴 생명력은 대한민국이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에 진입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고조선 이전의 시대부터 무궁화는 우리 민족의 시작과 그 역사를 같이한 꽃이고 오래전부터 삼천리 강산에 자생했던 꽃이다.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가 원산지로 불리기도 한다.
무궁화는 영원히 지지 않는 꽃이다. 무궁화는 법령으로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예부터 민족에게 사랑받아 온 통념의 국화로 알려져 있다.
동네를 한 바퀴 돌다 보면 무궁화를 심어 잘 가꾸는 기관을 찾아보기 어렵다. 정부 청사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무궁화를 가꾸는 기관은 거의 없다. 대부분 길가 한적한 곳에 방치되듯이 자생적으로 길러지고 있다. 최근 우크라이나전쟁으로 국제사회의 긴장이 고조되고 남북이 대치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과 국론이 분열되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우리나라 꽃인 무궁화를 보호하고 잘 가꿔 나라 사랑하는 마음을 키워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첫째, 무궁화를 사랑하고 개량종을 연구, 보급해야 한다. 둘째, 모든 국가 기관 정원에 무궁화를 심어야 한다. 셋째, 가로수로 무궁화를 심어 왕래하는 주민들이 수시로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아파트 단지와 가정의 정원에 무궁화를 보급하는 등 무궁화 심기 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다섯째, 각급 학교 학생들에게 무궁화를 사랑하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여섯째, 무궁화를 보살피고 잘 가꿔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