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현상, 이성과 상식으로 바라봐야

image
함선돈 남양주시선거관리위원회 위원

“계장님 오늘 배달된 우편투표가 몇 통인가요?”, “3만3천90통입니다.”, “그럼 우편투표 봉투를 모두 투입하는 데 얼마나 걸릴까요?”, “우체국에서 인계·접수된 통수를 확인하고 투입하면 7시간 정도 걸릴 것 같습니다.”

 

이 대화는 내가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으로서 선거계장과 지난 제20대 대통령선거 기간에 매일 관외사전투표가 선관위로 배송되는 시기에 나눈 얘기다. 실제로 우편투표 봉투 투입은 선거계장이 예측한 시간과 비슷하게 오후 10시께 끝났다.

 

당시 선관위 사무실 안의 상황이 이러했다면 밖의 상황은 어떠했을까? ‘투표함 바꿔치기, 선거조작을 멈춰라’ 등 각종 구호를 외치며 선거무효, 투표 조작금지 등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모여 있었다.

 

그렇다면 과연 그들의 말처럼 투표함 바꿔치기를 하거나 선거를 조작하려는 시도가 있었는가?

 

선관위 위원으로서 투표용지 인쇄, 우편투표 접수 과정, 사전투표함의 개표소 이송 등 일련의 선거 절차를 지켜봤을 때 투표함을 바꿔치기한다거나 투표지 조작 등의 일은 결코 발생할 수 없다.

 

그럼 투표하는 과정, 투표함을 개표소로 이송하는 과정, 개표 과정 중에 투표 결과를 조작할 수 있을까? 이는 우리나라 선거관리 시스템을 조금만 이해해도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국의 모든 사전투표소 및 투표소, 개표소에는 다수의 정당 추천 참관인이 투표함 이송을 포함해 투·개표의 모든 과정을 지켜보고 있다. 또 전국적으로 투표 관리를 위해 선관위 위원과 직원 외에도 종사자가 26만여명이고 개표 관리 종사자는 6만4천여명이다. 이들은 공무원부터 일반인까지 다양한 직업과 정치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다.

 

선관위가 이러한 모든 사람의 내심을 하나로 일치시키거나 단 한 명, 그 누구에게도 들키지 않고 선거인의 의사에 반해 선거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겠는가?

 

이 지점에서 필요한 것이 합리적인 이성과 상식이다. 선거가 끝났음에도 선거 부정을 외쳤던 그들 일부는 다른 이슈를 찾아 이런 주장을 계속 펼치고 있다.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다.

 

내년 4월10일 국회의원선거가 예정돼 있다. 필자는 선관위 위원으로서 일반 국민의 시각에서 엄정하게 공정·중립의 자세로 선거 관리에 임할 것이다. 필자가 바라는 것이 있다면 우리 국민들이 정치적 성향과 그 내심이 서로 다르더라도 합리적인 이성과 상식으로 지켜봐 주기를 바란다.

● 외부 필진의 기고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