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세지는 ‘평택지제역세권 개발’ 반발…주민들 상여 집회까지

평택 지제역세권 환지추진 총연합회 회원들이 9일 평택역 앞에서 강제수용방식의 평택지제역세권 개발에 반대하며 상여를 메고 평택역 일대를 돌고 있다. 안노연기자
평택 지제역세권 환지추진 총연합회 회원들이 9일 평택역 앞에서 강제수용방식의 평택지제역세권 개발에 반대하며 상여를 메고 평택역 일대를 돌고 있다. 안노연기자

 

정부의 평택지제역세권 개발계획을 놓고 해당 지역 토지주와 주민 반발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평택 지제역세권 환지추진 총연합회(이하 연합회) 소속 회원 200여명은 9일 평택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정부의 강제수용에 결사 반대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연합회는 평택시가 지난 2021년 6월3일 개발행위허가 제한구역으로 지정하고 환지 방식으로 개발하겠다고 했으면서도 국토교통부의 발표를 받아들인 건 주민들을 배신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합회는 “후손을 위한 백년대계 개발계획을 이윤을 추구하려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앞세워 국가가 개입해 속전속결의 졸속 행정으로 개발하려고 있음에 통탄과 개탄을 금치 못한다”면서 강제수용 방식으로 추진하는 평택지제역세권 공공주택지구 지정 철회를 촉구했다.

 

또 강제수용 제도 폐지와 환지 개발 방식 유지를 요구하면서 국토부와 시를 규탄하고 원희룡 국토부 장관과 정장선 평택시장 사퇴를 요구했다.

 

image
평택 지제역세권 환지추진 총연합회 회원들이 9일 평택역 앞에서 강제수용방식의 평택지제역세권 개발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안노연기자

 

당초 평택지제역 일원은 환승센터부지 9만9천㎡를 평택도시공사가 맡고 나머지 부지 234만7천㎡를 시 주도의 환지방식으로 개발할 계획이었으나 지난 6월19일 국토부 발표로 계획이 바뀌었다.

 

국토부 계획은 LH를 시행자로 기존 부지에 고덕면 방축리 일원을 더해 총 부지 453만1천㎡에 신규 주택 3만3천가구 규모의 ‘자족형 콤팩트시티’를 개발하는 내용이다.

 

이어 연합회는 ‘공공주택 특별법’이 사망했다면서 상여를 메고 평택역 일대를 돌면서 상여소리를 부른 후 평택시청까지 도보행진하면서 집회를 계속했다.

 

이유채 연합회 위원장은 “삶의 터전으로 살아오고 있는 고향 땅을 떠나라고 하고 전 재산이라 할 수 있는 땅을 헐값으로 가져가겠다고 한다”며 “졸속으로 추진되는 강제수용과 토지주의 눈을 가리고 거짓말을 일삼으면서 주장하는 막가파식 진행을 중단해야 한다”고 외쳤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시민이 재산 상 손실을 보지 않도록 돕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토의 체계적 발전도 고려 대상”이라며 “체계적이고 균형잡힌 발전을 위해선 지자체보다 국토부가 적합하다”고 해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