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의회 “평택호, 중점관리저수지로 지정해야”

지난 18일 본희의 개회에 앞서 시민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송탄(진위)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반대와 정부의 안성천 수질 개선을 위한 실질적 계획 수립을 요구하고 있다. 평택환경행동 제공
지난 18일 본희의 개회에 앞서 시민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송탄(진위)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반대와 정부의 안성천 수질 개선을 위한 실질적 계획 수립을 요구하고 있다. 평택환경행동 제공

 

평택시의회가 평택호 수질 개선을 위해 정부 주도의 수자원안심대책을 수립해 줄 것을 촉구했다.

 

18일 시의회에 따르면 시의회는 전날 열린 제2차 본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국가 주도의 수자원안심대책 수립 촉구 건의문’을 채택했다.

 

시의회는 건의문을 통해 “오랜 기간 평택호 유역의 10개 도시에서 방류되는 하수·폐수의 처리수와 축산 폐수를 비롯한 각종 오염원의 유입으로 평택호의 환경은 변화했고 수질은 점차 악화돼 가고 있다”며 “K-반도체 벨트 조성에 따라 반도체 제조 공정에 이용된 방류수의 평택호 유입으로 인한 수질 악화 가능성에 대해 시민은 깊은 우려를 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평택호 유역 10개 도시에서 방류되는 하수·폐수의 처리수에 의한 환경 변화, 축산폐수에 의한 오염, 반도체 방류수 유입에 따른 수질 악화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국가 주도의 수자원안심대책이 절실한 때”라며 정부가 평택호를 중점관리저수지로 지정하고, 평택호 유역에 국가수질안심센터 건립해줄 것을 촉구했다.

 

저수량이 1천만㎥ 이상이며 수질 오염도가 환경 기준을 초과한 저수지가 중점관리저수지로 지정되면 수질 개선에 필요한 예산을 우선 지원 받을 수 있다.

 

평택호의 저수량은 1억2천300만t이나 TOC(총유기탄소)가 2010년 4.7㎎/ℓ에서 2019년 5.3㎎/ℓ로 악화하는 등 농업용수 기준인 4등급을 초과했다.

 

유승영 의장은 “주변 지자체의 하수처리수와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상황에 시민의 걱정이 많다”며 “평택호 수질 개선을 우선적으로 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려면 정부가 관심을 갖고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