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가 송탄상수원보호구역을 해제하는 대신 팔당호를 통해 하루 15만t의 생활용수를 공급받기로 했다.
정장선 평택시장은 17일 언론브리핑을 열고 이날 오전 서울 FKI타워(구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용인 국가산단 조성을 위한 상생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브리핑에 따르면 시는 올해 연말 안으로 수도정비기본계획 협의와 변경신청·승인 등을 거쳐 내년 상반기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신청할 계획이다.
상수원보호구역을 해제하는 대신 부족한 생활용수 1만5천t 등을 포함해 인구증가와 도시개발에 따른 부족 예상분 15만t을 팔당을 통해 공급받기로 정부와 협의했다.
특히 현재 수질이 4등급으로 악화한 평택호를 중점관리저수지로 지정하고 수질을 3급수로 유지하는 데도 노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평택호 수계에 수질자동측정기 2개소를 설치하고 민관합동 수질 합동 점검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
또 진위천 인근 지역인 무봉산수련원부터 진위천 유원지까지 진위지역 일원 2.3㎢에 대한 주거·산업단지 등을 포함한 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정 시장은 “진위천 상류지역이 용인 국가산단에 일부 포함됐기 때문에 그동안 정부가 지속적으로 송탄상수원보호구역 조정을 요청해왔다”며 “그동안 주민설명회, 정부와 협의 등을 통해 최종적으로 송탄상수원보호구역 해제라는 정말 안타깝고 어려운 결정을 내렸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다만 지역 환경·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수질 개선을 위한 예산투입 등 구체적 언급이 없어 선언에 불과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중점관리저수지 지정 후 구체적 사안이 나올 것이라고 답변했다.
전날 평택환경행동, 서평택환경위원회, 평택시발전협의회 등 17개 단체는 공동으로 “시민의 희생을 일방적으로 강요하지말라”며 성명을 발표해 협약식 체결을 규탄한 바 있다.
정 시장은 경기일보 질의에 “정부가 중점관리저수지 지정을 위한 절차를 밟을 예정”이라며 “지정 이후에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면 자연스레 예산도 세워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